“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휴(景休)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경흥(慶興)@강릉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경흥(景興)@치초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흥군(慶興君)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흥부수(慶興副守) - 이춘원(李春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 - 최필달(崔必達)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강릉최씨(江陵崔氏) 경주계(慶州系)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개국찬화공신(三韓壁上開國贊化功臣)에 책록되고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첨의좌정승(領僉議左政丞)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희(慶禧) - 이경희(李慶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장령(掌令) 이경우(李慶祐)의 동생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희(景希)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희(景禧)@윤경희 - 윤경희(尹景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윤남(尹柟)의 아들로, 1562년(명종 17)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신천 군수(信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희(景禧)@권경희 - 권경희(權景禧)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판(禮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경희(景禧)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경희(景禧)@신경희 - 신경희(申景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평산부원군(平山府院君) 신잡(申磼)의 아들. 음보(蔭補)로 임관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함. 반역을 모의했다는 대북(大北)의 무고로 장살(杖殺)됨.
?~16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희(璟希) - 김경희(金璟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대사헌(大司憲)을 지냈으며,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졌음. 양진재(養眞齋) 김우홍(金禹洪)의 고조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啓)@미자 - 미자(微子)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서형(庶兄). 주(周) 나라 성왕(成王)이 무경(武庚)의 난을 평정한 뒤 송(宋) 나라에 봉하고 은(殷) 나라의 제사를 맡김. 기자(箕子)ㆍ비간(比干)과 함께 은 나라의 3인(仁)으로 일컬어짐.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啓)@김계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계(啓)@금계 - 금계(琴啓)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금회(琴淮)의 아들로,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 나가지 않다가 음보(蔭補)로 천거되어 충무위 부장(忠武衛部將)ㆍ군위 현감(軍威縣監) 등을 역임함.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계(季) - 장석지(張釋之)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법을 엄히 지키고 죄인을 공평하게 다스려서 칭송을 받았고, 꿇어 앉아 처사(處士) 왕생(王生)의 대님을 매어 줌으로써 인품이 더욱 돋보였다는 일화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桂) - 장계(張桂)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인동장씨(仁同張氏)의 시조. 1305년(충렬왕 31)에 진사(進士)가 되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계(棨) - 유계(兪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1607~166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溪) - 윤계(尹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副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인종(仁宗) 때 사은사(謝恩使)로 북경에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