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溪)@이계 - 이계(李溪)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권근(權近)과 교유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계(繼) - 윤계(尹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수찬(修撰)을 지낸 윤효빙(尹孝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계(薊)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誡)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계(𡹘) - 이계(李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버지. 문장으로 한 시대에 이름을 떨쳤으나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채 삼등 현령(三登縣令)으로 관직을 마침.
?~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요(薊^遼) - 요^계(遼^薊)
중국 요녕성(遙寧省) 남동부에 위치한 요동(遼東)과 하북성(河北省) 동북부에 위치한 계주(薊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계감(季瑊) - 이계감(李季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낸 이창우(李昌祐)의 아들이며,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계감(戒鑑) - 명황계감(明皇戒鑑)
조선 세종(世宗) 때 이개(李塏)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보감류(寶鑑類) 서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고사(故事)를 기록하고 고금(古今)의 시를 덧붙임.
144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계갑일록(癸甲日錄) - 계갑록(癸甲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우성전(禹性傳)의 저서. 1583년(선조 16) 6월부터 1584년(선조 17) 8월까지 1년 2개월 간의 정치기사를 일기체로 엮음. 1책. 1911년에 《대동야승(大東野乘)》 제24권에 수록되어 간행됨.
191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강(係江) - 홍계강(洪係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사제(洪師悌)의 아들이자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홍경창(洪慶昌)의 아버지이며, 사간(司諫) 안팽명(安彭命)의 장인으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계강(季江) - 강계강(姜季江)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隱者). 강굉(姜肱)ㆍ강중해(姜仲海)와 형제간의 우애로 이름이 높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계강(繼姜) - 박계강(朴繼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여항시인(閭巷詩人). 본관은 밀양(密陽).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김정(金淨)과 교유하고, 유희경(劉希慶)을 중심으로 구성된 풍월향도시인(風月香徒詩人)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계겸(繼謙)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경(啓卿) - 하옥(河沃)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형산(河荊山)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계경(啓經) - 권계경(權啓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후(權厚)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세조(世祖)가 왕위(王位)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隱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경(季耕)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계경집(桂耕集) - 계원필경(桂苑筆耕)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詩文集).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의 명문만을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한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침. 20권 4책. 활자본.
18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계고(季高)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고요람(稽古要覽) - 남양계고요람(南陽稽古要覽)
조선 단종(端宗) 때의 호장(戶長) 송후(宋後) 등이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경기도 남양(南陽)의 연혁을 기록한 책으로, 생원 조중민(趙仲旻)이 교정하고 편집하였으며, 1455년(단종 3)에 완성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문헌>서명
-
계곡(桂谷)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