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경(啓卿) - 하옥(河沃)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형산(河荊山)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계경(啓經) - 권계경(權啓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후(權厚)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세조(世祖)가 왕위(王位)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隱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경(季耕)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계경집(桂耕集) - 계원필경(桂苑筆耕)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詩文集).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의 명문만을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한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침. 20권 4책. 활자본.
18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계고(季高)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고요람(稽古要覽) - 남양계고요람(南陽稽古要覽)
조선 단종(端宗) 때의 호장(戶長) 송후(宋後) 등이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경기도 남양(南陽)의 연혁을 기록한 책으로, 생원 조중민(趙仲旻)이 교정하고 편집하였으며, 1455년(단종 3)에 완성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문헌>서명
-
계곡(桂谷)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계곡(溪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곡(谿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곡문집(谿谷文集)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곡선생집(谿谷先生集)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관(啓寬) - 홍계관(洪啓寬)
조선 세조(世祖)~명종(明宗) 때의 점술가. 점이 신묘하여 서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홍계관리(洪啓寬里)’가 있었다고 하며, 명종이 시험 삼아 상자 속에 있는 쥐의 마리수를 점치게 했을 때 어미 뱃속에 있는 새끼 숫자까지 맞혔다는 이야기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광(繼光)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구(薊丘)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군공(薊郡公) - 이광필(李光弼)@당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무신. 현종 때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이며, 곽자의를 대신해 삭방(朔方)을 맡으면서 천하 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帥)로 명성을 떨침.
708~76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권(季權) - 장일(張鎰)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봉상농우절도사(鳳翔隴右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반란이 일어나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근(繼根) - 이계근(李繼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유학 이희징(李希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계긍(季肯)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기(啓基)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계남(啓南) - 심주(沈周)
중국 명(明) 나라의 화가ㆍ문인. 산수화에 뛰어나 남북의 화풍을 융합한 장중한 구성과 풍운(風韻)이 깃든 필치의 수묵담채화(水墨淡彩畵)를 많이 그림. 문벽(文璧)ㆍ당인(唐寅) 등에게 영향을 미쳐 오파(吳派)의 계통을 이룸.
1427~150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