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곡(溪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곡(谿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곡문집(谿谷文集)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곡선생집(谿谷先生集)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관(啓寬) - 홍계관(洪啓寬)
조선 세조(世祖)~명종(明宗) 때의 점술가. 점이 신묘하여 서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홍계관리(洪啓寬里)’가 있었다고 하며, 명종이 시험 삼아 상자 속에 있는 쥐의 마리수를 점치게 했을 때 어미 뱃속에 있는 새끼 숫자까지 맞혔다는 이야기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광(繼光)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구(薊丘)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군공(薊郡公) - 이광필(李光弼)@당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무신. 현종 때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이며, 곽자의를 대신해 삭방(朔方)을 맡으면서 천하 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帥)로 명성을 떨침.
708~76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권(季權) - 장일(張鎰)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봉상농우절도사(鳳翔隴右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반란이 일어나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근(繼根) - 이계근(李繼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유학 이희징(李希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계긍(季肯)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기(啓基)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계남(啓南) - 심주(沈周)
중국 명(明) 나라의 화가ㆍ문인. 산수화에 뛰어나 남북의 화풍을 융합한 장중한 구성과 풍운(風韻)이 깃든 필치의 수묵담채화(水墨淡彩畵)를 많이 그림. 문벽(文璧)ㆍ당인(唐寅) 등에게 영향을 미쳐 오파(吳派)의 계통을 이룸.
1427~150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계남(季男)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남(繼男)@한계남 - 한계남(韓繼男)
조선 후기의 문신. 대북파(大北派)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인 유색(柳穡)에게 탄핵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계남(繼男) - 이계남(李繼男)
조선 전기의 무신.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계달(季達)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계담(季耼) - 안계담(安季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버지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할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계당(季堂) - 남계당(南季堂)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지(南輊)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과 제학(提學)을 역임하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계당(桂堂) - 배맹후(裵孟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
1448~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