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당(溪堂)@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당(溪堂)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계당(溪堂)@사일 - 사일(謝逸)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인. 사매(謝邁)의 종형(從兄)으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 여희철(呂希哲)에게 수학하였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황정견(黃庭堅)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1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계당(溪堂)@손명 - 손명(孫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생원 손흥례(孫興禮)의 아버지.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계당(谿堂)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당처사(溪堂處士)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계덕(季德) - 한상덕(韓尙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넷째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종손뻘인 한명회(韓明澮)를 양육함. 우리나라 최초의 양잠서인《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를 초록(抄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계동(季仝) - 이계동(李季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계남(李季男)의 아우. 이극균(李克均)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藩記)》ㆍ《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하였으며, 관직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름.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
-
계동(季童) - 윤계동(尹季童)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향(尹向)의 아들로, 태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貞信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계동(溪東) - 전경창(全慶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전순(田珣)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었으며, 대구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됨.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계동(繼潼) - 최계동(崔繼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흥해(興海)로, 나주 목사(羅州牧使)를 지낸 최환(崔渙)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문사>유학
-
계란(季蘭) -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비(妃). 혜제(惠帝)가 등극하여 태후가 되었으나 가후(賈后)에 의해 역모를 꾀했다는 무함을 받고 폐위되어 금용성(金墉城)에 유폐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계량(季樑)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민계량 - 민계량(閔季良)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을 지낸 민구(閔球)의 아들로, 내섬시 판관(內贍寺判官)ㆍ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499~157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변계량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조광좌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마량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량(季良) - 두보(杜保)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의협심이 강하기로 유명함.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말한 ‘화호유구(畵虎類狗)’에 나오는 인물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량미(季良眉) - 백미(白眉)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마씨(馬氏) 형제 중에 흰 눈썹이 난 막내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났던 데서 나온 말로, 출중한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력(季歷) - 왕계(王季)
중국 주(周) 나라의 태왕(太王)인 고공단보(古公亶父)의 막내아들. 문왕(文王)의 아버지로, 무왕(武王) 때 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