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림군(鷄林君)@정지년 - 정지년(鄭知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효종(鄭孝終)의 아버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낼 때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 연구에 전념함.
1395~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달충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존오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수 - 이수(李䇕)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셋째 아들로, 판강릉도호부사(判江陵都護府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보림 - 이보림(李寶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제현(李齊賢)의 손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흥상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탄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림군(鷄林君)@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승상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 - 김균(金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조선 개국공신의 한 사람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짐.
134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김씨(鷄林金氏) - 경주김씨(慶州金氏)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신라 김씨의 대종(大宗)으로, 김해김씨(金海金氏)와 더불어 우리나라 김씨 계통의 양대 산맥을 이룸.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대군(鷄林大君)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김득겸 - 김득겸(金得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황(金貺)의 장인으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김혼 - 김혼(金琿)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경손(金慶孫)의 아들로, 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냈으며,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1239~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이달충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대군(鷄林府院大君)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정(鷄林副正)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림설씨(鷄林薛氏) - 순창설씨(淳昌薛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의 촌장인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적(原籍)은 경주(慶州)인데,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으로 이관(移貫)함.
한국>신라 , 전라도>순창ㅣ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