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림손씨(鷄林孫氏) - 경주손씨(慶州孫氏)
신라 흥덕왕(興德王) 때의 효자 손순(孫順)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이씨(鷄林李氏) - 경주이씨(慶州李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인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삼고,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최씨(鷄林崔氏) - 경주최씨(慶州崔氏)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가운데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를 시조로 삼고, 석학(碩學) 최치원(崔致遠)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맹(繼孟) - 이계맹(李繼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일손(金馹孫)ㆍ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영광(靈光)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계명(季明)@김지남 - 김지남(金指南)
조선 현종(顯宗)~정조(正祖) 때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청(淸) 나라에서 《자초신방(煮硝新方)》을 수입ㆍ번역하고, 《북정록(北征錄)》을 저술하였으며, 《통문관지(通文館志)》편찬에 참여함.
165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역관
-
계명(季明)@신여철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계명(季明) - 소병(蘇昞)
중국 송(宋)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처음에 장재(張載)에게 배웠으나 나중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문인이 되었으며,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명(繼命) - 이계명(李繼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진위장군(振威將軍) 행 오위도총부 도사(行五衛都摠府都事)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계명구도지도(鷄鳴狗盜之徒) -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도둑.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고상한 학문은 없고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함. 《사기(史記)》〈맹상군전〉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명사(啓明師) - 정해(定海)
고려 후기의 승려. 좌가 부승록(左街副僧錄)을 지냈으며, 계명사 주지(啓明寺住持)로 있으면서 자비령(慈悲嶺)에 있는 자비사(慈悲寺)를 중건하고 이색(李穡)에게 기문(記文)을 청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계명성(啓明星)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계문(季文)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계문(季文)@김계문 - 김계문(金季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아버지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문(季聞) - 김영택(金令澤)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상정(金相定)의 아버지로, 대흥 군수(大興郡守)를 지냄.
1699~17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문(季聞)@유계문 - 유계문(柳季聞)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원종공신(原從功臣) 유관(柳寬)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유권(柳睠)의 아버지. 서예에 능해서 왕명으로 태종의 명복을 빌기 위한 《금자법화경(金字法華經)》을 씀.
1383~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계문(溪門)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문(繼門) - 조계문(曺繼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위(曺偉)의 아버지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장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과 울진 현령(蔚珍縣令) 등을 역임함.
1414~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계문자(季文子) - 계손행보(季孫行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문공(文公)~양공(襄公) 때의 대부. 문공ㆍ선공(宣公)ㆍ성공(成公)ㆍ양공 4대를 섬기면서 깊은 신뢰를 쌓은 현인으로, 《논어(論語)》의 삼사이행(三思而行)과 관련된 인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미(繼美)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발(戒發)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