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목세칭(睦世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사천(泗川).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함.
1487~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
-
목승평(睦昇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목치상(睦致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목암집(牧菴集)
중국 원(元) 나라 문신ㆍ학자인 요수(姚燧)의 문집. 36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목야(牧野)
중국 하남성(河南省) 기현(淇縣) 남쪽에 있던 고을 이름.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멸한 곳.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목영(沐英)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홍무제(洪武帝:明 太祖)의 양자가 되어 무공(武功)을 세움. 1377년에 토번(吐審)을 정벌하고, 1381년에는 운남(雲南)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만족(蠻族)을 평정시킴.
1345~139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왕(穆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14. 아버지인 성왕(成王)을 시해하고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은고(牧隱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의 문집. 조선 태종(太宗) 때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처음 간행함. 이후 방대한 내용을 나누어 〈시고(詩藁)〉와 〈문고(文藁)〉로 간행하기도 함.
140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목인길(睦仁吉)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하여 1등 공신에 책봉되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나, 모반을 꾀한다는 무고로 유배 가서 죽음.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무신
-
목장흠(睦長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목첨(睦詹)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관직에 나옴.
1572~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목재집(木齋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여하(洪汝河)의 문집. 1677년(숙종 3)부터 아들 홍상문(洪相文)ㆍ홍상민(洪相民)에 의해 정리됨.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목종(穆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821~824.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牛李黨爭)이 일어나고, 번진(藩鎭)의 반란과 토번(吐藩)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
795~82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종집(木鍾集)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진식(陳埴)의 저서. 이름을 집(集)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어록(語錄)임. 총 1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
-
목천상씨(木川尙氏)
백제의 유민(遺民)으로 목천현(木川縣)의 장리(長吏)를 지낸 상국진(尙國珍)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에 반기를 들어 ‘상(象)’으로 사성(賜姓)되었다가 복성(復姓)되었다 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집단>성씨
-
목첨(睦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목세칭(睦世秤)의 아들. 공조 참의(工曹參議)ㆍ청홍도 관찰사(淸洪道觀察使)ㆍ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15~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목충(睦忠)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사천(泗川).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목인길(睦仁吉)의 종제(從弟). 1363년(공민왕 12) 공민왕을 호종(護從)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이 되었고, 홍건적(紅巾賊)을 막아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