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방(啟方) - 개방(開方)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제(齊) 나라에 벼슬할 때 관중(管仲)의 배척을 받았으나, 관중이 죽은 뒤 제 환공(齊桓公)에게 중용되었으며, 수조(豎刁)ㆍ역아(易牙)와 함께 국정을 전횡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방(季方) - 진심(陳諶)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 형인 진기(陳紀)와 더불어 덕망이 높아 아버지 진식(陳寔)으로부터 난형난제(難兄難弟)라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번(繼蕃) - 이계번(李繼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이유인(李有仁)의 아버지로, 참찬(參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보(啓甫)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순전(李純全)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36~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계보(季寶)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계보(季父)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계보(季甫) - 김계보(金季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8세손이며, 능성 현령(綾城縣令) 김약(金躍)의 아들. 1432년(세종 14)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냈으나,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南原)으로 내려가 은거했음.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계보(繼保) - 이계보(李繼保)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으로, 완성군(莞城君) 이귀정(李貴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복(繼福) - 김계복(金繼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경연(金慶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계봉(鷄峯)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분(桂芬)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계비윤씨(繼妃尹氏)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계빈(季彬) - 나위소(羅緯素)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정묘호란 때 이원익(李元翼)을 도와 무기와 군량을 조달했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83~166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계사(季思)@최계사 - 최계사(崔季思)
조선 전기의 문신. 성종(成宗) 때의 진사인 최하림(崔河臨)의 아버지로, 교하 현감(交河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계사(季思) - 민회현(閔懷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현량과(賢良科)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방(罷榜)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472~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계사(繼祀) - 송계사(宋繼祀)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쌍청당(雙淸堂) 송유(宋愉)의 아들이자, 송요년(宋遙年)ㆍ송순년(宋順年)의 아버지로, 상주 판관(尙州判官) 등을 지냈으며,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계산(戒山) - 안우(安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밀양(密陽)ㆍ평산(平山)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계산(溪山)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계산(鷄山)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산군(桂山君)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