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산노인(桂山老人) - 사악(謝諤)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저서로 《양송명현소집(兩宋名賢小集)》과 《간재집(艮齋集)》을 남김.
1121~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산백(稽山伯) - 양매(楊梅)
조선 전기의 문신 최연(崔演)의 《간재집(艮齋集)》에 실려 있는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산정(桂山正)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산처사(溪山處士)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계상(季常)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상(溪上)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상(繼商) - 조계상(曺繼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조광원(曺光遠)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66~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상(繼祥) - 이계상(李繼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안협 현감(安峽縣監)을 지낸 이문좌(李文佐)의 아버지로, 감무(監務)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상륙(溪上六) - 죽계육일(竹溪六逸)
중국 당(唐) 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태안부(泰安府) 조래산(徂徠山) 아래 죽계(竹溪)에 모여 날마다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여섯 명의 문인. 이백(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을 말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계서(季瑞)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서일민(溪西逸民)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선(季宣) - 설계선(薛季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심성의 수양보다는 국가정책, 국방, 재정, 민생의 안정 등 사회ㆍ정치적 문제를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하는 사공파(事功派)의 학자로서 《서고문훈(書古文訓)》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선(季瑄) - 어계선(魚季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좌참찬(左參贊)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충효를 겸전하고 예서(隸書)에 능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선(溪仙)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선(繼先) - 홍경소(洪敬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홍기영(洪耆英)의 아들이며 손우재(遜愚齋) 홍석(洪錫)의 아버지로,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계선(繼善) - 이효술(李孝述)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주희(朱熹)의 제자 이번(李燔)의 조카로,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선생(溪先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성(啓聖)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季誠)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계성(繼盛) - 양계성(楊繼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지냄. 엄숭(嚴嵩)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
1516~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