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선(溪仙)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선(繼先) - 홍경소(洪敬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홍기영(洪耆英)의 아들이며 손우재(遜愚齋) 홍석(洪錫)의 아버지로,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계선(繼善) - 이효술(李孝述)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주희(朱熹)의 제자 이번(李燔)의 조카로,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선생(溪先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성(啓聖)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季誠)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계성(繼盛) - 양계성(楊繼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지냄. 엄숭(嚴嵩)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
1516~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성(薊城)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성공(啓聖公)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군(繼城君) - 한중례(韓仲禮)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계성군(鷄城君)@이양생 - 이양생(李陽生)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오(李晤)의 아버지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할아버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전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짐.
1423~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계성군(鷄城君)@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성군(鷄城君) - 손사성(孫士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성왕(啓聖王)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후(桂城侯) - 왕원(王沅)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5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계소(啓昭) - 엄흔(嚴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언로의 개방과 언관의 탄압 중지 등을 건의했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8~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소(季紹) - 이종윤(李悰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수(李洙)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결성군(結城君) - 장담(張湛)@조선
조선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조선 건국에 공이 있어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이방간(李芳幹)을 도운 죄로 파직된 뒤 장형(杖刑)을 받고 죽었음.
?~1400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겸(㻩) - 권겸(權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겸(㻩)@송겸 - 송겸(宋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여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