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겸(謙)@남겸 - 남겸(南謙)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재(南在)의 선조로, 위위 주부(衛尉注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겸(謙)@권겸 - 권겸(權謙)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공민왕의 배원정책(排元政策)에 의하여 1356년(공민왕 5년) 기철(奇轍)ㆍ노책(盧頙) 등과 함께 죽음을 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겸(謙)@구치관의조카 - 구겸(具謙)@구치관의조카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조카.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도총사(都摠使)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종군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능산군(綾山君)에 봉해짐.
?~149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무신
-
겸(謙)@이맹지의아들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겸(謙)@오겸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謙) - 강겸(姜謙)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강자평(姜子平)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유배된 후 능지처참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겸(謙)@유겸 - 유겸(柳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예문춘추관 태학사(藝文春秋館太學士) 유구(柳玽)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門閣直提學) 등을 지냄. 아버지와 함께 청백리(淸白吏)로 이름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겸(謙)@구봉령의아버지 - 구겸(具謙)@구봉령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아버지.
150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겸(謙)@이제의아들 - 이겸(李謙)@이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아들이며, 이정(李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겸개선(謙開善) - 도겸(道謙)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僧侶). 주희(朱熹)가 초년(初年)에 선학(禪學)을 배운 고승(高僧).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겸겸(謙謙) - 한창유(韓昌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한충(韓忠)의 아버지.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장흥고 주부(長興庫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곡(謙谷) - 이인(李韌)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신돈(辛旽)의 문객으로 잠입하여 흉모를 자세히 기록하였다가 김속명(金續命)에게 알림으로써 신돈의 무리를 처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함.
?~138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문신
-
겸광(謙光)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겸무(兼武) - 박겸무(朴兼武)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수안 군수(遂安郡守) 박준산(朴峻山)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겸보(謙甫)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겸부(謙夫)@탁신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겸부(謙夫)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겸사(謙師) - 각겸(覺謙)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암 유공(懶庵游公)과 함께 오대산(五臺山)의 수정암(水精菴)을 중수함.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과 시(詩)로써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겸산(兼山) - 황상(黃裳)@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 좌승상(左丞相) 유정(留正)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翊善)을 지내며 황자(皇子)였던 영종(寧宗)을 보필함. 저서에 《왕부춘추강의(王府春秋講義)》ㆍ《겸산집(兼山集)》 등이 있음.
1146~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겸산(兼山)@박겸산 - 박겸산(朴兼山)
조선 전기의 문인.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문집(虛白亭文集)》에 그의 시축(詩軸)에 써 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