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겸인(兼仁) - 이겸인(李兼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양성(李養性)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외손 김구(金絿)가 지은 묘갈음기(墓碣陰記)가 《자암집(自菴集)》에 실려 있음.
1412~14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유종선 - 유종선(柳從善)@151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순선(柳順善)의 아우로, 호조 참의(戶曹參議)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519~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하홍도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겸재(謙齋)@정선 - 정선(鄭歚)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광산(光山).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완성하고, 금강전도(金剛全圖)ㆍ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등 많은 명작을 남김.
1676~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오매경 - 오매경(吳梅卿)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중국 태주(台州) 선거(仙居) 사람으로 충주 문학(忠州文學)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정완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안목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서박 - 서박(徐薄)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7년(홍치 10) 황제의 칙령으로 《대명회전(大明會典)》 편찬에 착수하여 1549년(가정 28년)에 완성함.
1428~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안처겸 - 안처겸(安處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냄.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재선생문집(謙齋先生文集) - 겸재집(謙齋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시문집(詩文集). 정론(正論)을 비판하고 악인(惡人)을 장려하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는 이유로 수난을 겪음.
17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겸중(謙仲)@정희익 - 정희익(鄭希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군수(郡守)를 지낸 정경(鄭璟)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03~156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겸중(謙仲)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겸지(兼之) - 이달선(李達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형원(李亨元)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겸지(謙之)@유영겸 - 유영겸(柳永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연(柳埏)의 아들이며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유영순(柳永詢)의 형으로, 1582년(선조 1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음보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지(謙之)@조대림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겸지(謙之) - 강겸(姜謙)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강자평(姜子平)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유배된 후 능지처참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겹(韐) - 김겹(金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손자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에게 목숨을 잃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儆)@고려 - 이경(李儆)@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장용(李藏用)의 아버지로, 추밀원사(樞密院使)를 지냄.
?~12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