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儆)@조선 - 이경(李儆)@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경(卿) - 한경(韓卿)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국구(國舅)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딸이 신의왕후(神懿王后)에 추봉(追封)되자,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坰)@윤경 - 윤경(尹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의정(領議政) 윤필상(尹弼商)의 아버지로, 배천 군수(白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경(坰) - 유경(柳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광주(廣州)와 여주(驪州)의 목사(牧使)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庚) - 이경(李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제용감 정(濟用監正) 이규(李逵)의 아버지로, 평산 부사(平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경(慶)@소경 - 소경(蘇慶)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647년(진덕여왕 1)에 상대등(上大等)이 되고, 진덕여왕(眞德女王)이 죽은 후 왕위를 김춘추(金春秋)에게 사양함. 이후 진주(晉州)로 옮겨 가 진주소씨(晉州蘇氏)의 중시조가 됨.
577~6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慶)@오경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慶)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경(慶)@이경 - 이경(李慶)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이계기(李啓基)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의과(醫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憬) - 심경(沈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이발(李潑) 형제가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을 때 장사를 지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정인홍(鄭仁弘)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규탄하다가 유배감.
1556~161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경(擎) - 권경(權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ㆍ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
1429~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敬) - 제갈회(諸葛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조정에서 재상인 왕도(王導)와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공을 세워 여러 번 시중(侍中)에 오름.
265~32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景)@남경 - 남경(南景)
조선 전기의 유학.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景)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暻)@남경 - 남경(南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남응정(南應井)의 서자(庶子). 주부(主簿) 권헌(權憲)의 딸과 결혼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경(暻)@왕경 - 왕경(王暻)
고려 제17대 인종(仁宗)의 아들. 의종(毅宗)의 아우로, 1148년(의종 2) 대령후(大寧侯)로 책봉되었으나, 1157년(의종 11)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경(暻) - 윤경(尹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선철(尹先哲)의 아들로, 1569년(선조 22)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경(曔) - 손경(孫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의정부 우참찬 손중돈(孫仲暾)의 아들로, 충의위(忠義衛) 현신교위(顯信校尉)를 지냄.
1492~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경(熲) - 이경(李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서산군(瑞山君) 이혜(李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璟)@안경 - 안경(安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안관후(安寬厚)와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안중후(安重厚)의 아버지로, 검참판(檢參判)과 검교 한성윤(檢校漢城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