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璟)@송경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璟)@박경 - 박경(朴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박응현(朴應鉉)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경(璟)@정경 - 정경(鄭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희익(鄭希益)의 아버지로, 숙천 부사(肅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경(璟) - 왕경(王璟)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계성후(桂城侯) 왕원(王沅)의 아들로 청화후(淸化侯)로 책봉됨.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과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의 아버지.
?~1259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종친
-
경(璟)@문경 - 문경(文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달한(文達漢)의 아버지.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으며, 남평군(南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璥) - 유경(柳璥)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김준(金俊) 등과 함께 최의(崔竩)를 죽여 최씨의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종식시킴.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내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안향(安珦)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함.
1211~128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璥)@조선전기 - 이경(李璥)@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무죄를 극력 간하여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璥)@조선후기 - 이경(李璥)@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만영(李萬榮)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병사함.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경(瓊)@송경 - 송경(宋瓊)
조선 전기의 문신. 송애(松厓) 이여(李畬)와 절친한 벗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瓊) - 박경(朴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한림제학(翰林提學)ㆍ판서(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경(瓊)@이경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경(絅)@허경 - 허경(許絅)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양천군(陽川君) 허백(許伯)의 아들이자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버지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경(絅)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경(經)@이경 - 이경(李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교리(校理) 이수언(李粹彦)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경(經) - 박경(朴經)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해(寧海).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대사헌(大司憲)ㆍ완산부 윤(完山府尹) 등을 지냄.
1350~14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경(耕)@윤경 - 윤경(尹耕)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사보(尹思甫)의 아들이며, 윤효정(尹孝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경(耕) - 박경(朴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서예가. 정붕(鄭鵬)ㆍ박영(朴英)의 문인으로 교수청(校讐廳)의 사자생(寫字生)으로 있었는데, 유자광(柳子光)ㆍ박원종(朴元宗)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斬刑)에 처해짐.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경(褧)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鏡)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경(鏡)@김경 - 김경(金鏡)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승지 김질충(金質忠)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호군(忠佐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