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經)@이경 - 이경(李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교리(校理) 이수언(李粹彦)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경(經) - 박경(朴經)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해(寧海).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대사헌(大司憲)ㆍ완산부 윤(完山府尹) 등을 지냄.
1350~14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경(耕)@윤경 - 윤경(尹耕)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사보(尹思甫)의 아들이며, 윤효정(尹孝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경(耕) - 박경(朴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서예가. 정붕(鄭鵬)ㆍ박영(朴英)의 문인으로 교수청(校讐廳)의 사자생(寫字生)으로 있었는데, 유자광(柳子光)ㆍ박원종(朴元宗)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斬刑)에 처해짐.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경(褧)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鏡)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경(鏡)@김경 - 김경(金鏡)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승지 김질충(金質忠)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호군(忠佐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경(鯁) - 심경(沈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효력부위(效力副尉)를 지낸 심희창(沈希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경가(慶可) - 개로왕(蓋鹵王)
백제의 제21대 왕. 재위 455~475. 비유왕(毗有王)의 맏아들이며, 문주왕(文周王)의 아버지. 북위(北魏)를 이용하여 고구려의 남하 정책을 저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475년 고구려의 침입 때 붙잡혀 참수됨.
?~475 한국>백제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국왕
-
경각(經閣) - 대장각(大藏閣)
경기도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 있었던 건물 이름. 고려 우왕(禑王) 때 이숭인(李崇仁)이 2층 형태로 건립하고, 이색(李穡)과 혜근(惠勤)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大藏經)을 봉안하였음.
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누정
-
경간(敬簡) - 문효제(文孝悌)
고려 목종(穆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문극유(文克裕)의 아들.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냈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경강(敬康)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건(景建) - 증극(曾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주희(朱熹)가 그의 서(書)와 시(詩)를 얻어서 특별하게 여겼다고 하며, 저서에는 《춘릉소집(春陵小集)》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경검(景儉) - 이경검(李景儉)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증손이며, 해풍군(海豊君) 이기(李耆)의 아들.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에 연루되어 무림군(茂林君) 이선윤(李善胤)과 함께 원지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적소에서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경경(慶卿) - 형가(荊軻)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자객(刺客). 위(衛) 나라 사람으로 연(燕) 나라 태자 단(丹)의 식객(食客)이 되었으며, 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진왕(秦王)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죽임을 당함.
?~B.C.22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경고(景高) - 곽고(郭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냈으며,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이이(李珥)가 이별하면서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곡(瓊谷)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경공(景恭)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관(景寬) - 권홍계(權弘啓)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관(景寬)@이언순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