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광원(鏡光院) - 경광서원(鏡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건립한 서원. 배상지(裵尙志)ㆍ이종준(李宗準)ㆍ장흥효(張興孝)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광정사(鏡光精舍) - 경광서원(鏡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건립한 서원. 배상지(裵尙志)ㆍ이종준(李宗準)ㆍ장흥효(張興孝)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구(景久) - 김성원(金聲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금산 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산 , 인명>문사>학자
-
경국(經國)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경국대전속록(經國大典續錄) - 대전속록(大典續錄)
조선시대 기본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반포 이후 성종(成宗) 22년(1491)까지의 새로운 수교(受敎)와 법규(法規)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 6권 1책. 목판본.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경국전(經國典) -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조선 태조(太祖) 때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사찬(私撰) 법전(法典). 2권. 필사본. 조선 개국의 기본 정책과 육전(六典)에 관한 업무를 규정하였으며, 성종(成宗) 때 편찬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모체가 됨.
139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궐(京闕)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근(敬近) - 김경근(金敬近)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한성부윤(漢城府尹) 김봉서(金鳳瑞)의 아버지로, 좌군 사용(左軍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경근재(敬勤齋) - 유몽학(柳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덕을 겸비한 인재로 천거되어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시방(市坊)의 폐단을 개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기(慶祺) - 이경기(李慶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요절함.
?~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경기(景基) - 심호(沈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에게 출계(出系)함. 동생 심금(沈錦)의 아들 심종민(沈宗敏)을 계자(繼子)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기(景琦)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기도(京畿道)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경길(敬吉) - 박경길(朴敬吉)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무신.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박몽필(朴夢筆)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55년(효종 6)에 종제(從弟) 박경지(朴敬祉)와 함께 박영(朴英)의 문집인 《송당집(松堂集)》을 간행함.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경남(敬男) - 한경남(韓敬男)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한응인(韓應寅)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경남(景南) - 유몽익(柳夢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공(柳用恭)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역임함.
1522~15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눌(竟訥) - 경눌(敬訥)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이 그에게 써 준 시(詩)가 《충암집(冲庵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당(敬堂)@애경당 - 애경당(愛敬堂)
경상도 문경(聞慶) 영순면(永順面)에 있는 사당. 조선 성종(成宗) 때 홍귀달(洪貴達)이 부모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유적>건물>사당
-
경당(敬堂)@장흥효 - 장흥효(張興孝)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벼슬을 단념한 채 후학 양성에만 힘씀. 지평(持平)에 추증되고 경광서원(鏡光書院)에 배향됨.
1564~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경당(敬堂) - 손효조(孫孝祖)
조선 전기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김용석(金用石) 등과 함께 주희(朱熹)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