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근(敬近) - 김경근(金敬近)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한성부윤(漢城府尹) 김봉서(金鳳瑞)의 아버지로, 좌군 사용(左軍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경근재(敬勤齋) - 유몽학(柳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덕을 겸비한 인재로 천거되어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시방(市坊)의 폐단을 개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기(慶祺) - 이경기(李慶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요절함.
?~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경기(景基) - 심호(沈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에게 출계(出系)함. 동생 심금(沈錦)의 아들 심종민(沈宗敏)을 계자(繼子)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기(景琦)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기도(京畿道)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경길(敬吉) - 박경길(朴敬吉)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무신.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박몽필(朴夢筆)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55년(효종 6)에 종제(從弟) 박경지(朴敬祉)와 함께 박영(朴英)의 문집인 《송당집(松堂集)》을 간행함.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경남(敬男) - 한경남(韓敬男)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한응인(韓應寅)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경남(景南) - 유몽익(柳夢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공(柳用恭)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역임함.
1522~15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눌(竟訥) - 경눌(敬訥)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이 그에게 써 준 시(詩)가 《충암집(冲庵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당(敬堂)@애경당 - 애경당(愛敬堂)
경상도 문경(聞慶) 영순면(永順面)에 있는 사당. 조선 성종(成宗) 때 홍귀달(洪貴達)이 부모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유적>건물>사당
-
경당(敬堂)@장흥효 - 장흥효(張興孝)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벼슬을 단념한 채 후학 양성에만 힘씀. 지평(持平)에 추증되고 경광서원(鏡光書院)에 배향됨.
1564~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경당(敬堂) - 손효조(孫孝祖)
조선 전기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김용석(金用石) 등과 함께 주희(朱熹)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당(敬堂)@신흠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당(敬堂)@한세능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당(鏡堂) - 쌍경당(雙鏡堂)
경상도 밀양(密陽) 용평동(龍平洞)에 있는 당우(堂宇)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이태(李迨)가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원됨.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경당대인(敬堂大人)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대(瓊臺)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덕(敬德)@서경덕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경덕(敬德) - 울지공(尉遲恭)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나라 말에 유무주(劉武周)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李世民)을 따라 왕세충(王世充)ㆍ두건덕(竇建德) 등을 격퇴하고, 현무문(玄武門)의 변(變)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
585~658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