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당(敬堂)@신흠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당(敬堂)@한세능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당(鏡堂) - 쌍경당(雙鏡堂)
경상도 밀양(密陽) 용평동(龍平洞)에 있는 당우(堂宇)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이태(李迨)가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원됨.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경당대인(敬堂大人)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대(瓊臺)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덕(敬德)@서경덕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경덕(敬德) - 울지공(尉遲恭)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나라 말에 유무주(劉武周)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李世民)을 따라 왕세충(王世充)ㆍ두건덕(竇建德) 등을 격퇴하고, 현무문(玄武門)의 변(變)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
585~658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덕(景德)@운봉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경덕(景德)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덕(景德)@윤비 - 윤비(尹棐)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덕(經德) - 박인수(朴仁壽)
고려 말~조선 초의 효자. 하륜(河崙)의 《호정집(浩亭集)》에 그의 효성을 읊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
-
경덕사(景德祠)@사빈서원 - 사빈서원(泗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김진(金璡)ㆍ김극일(金克一)ㆍ김명일(金明一)ㆍ김성일(金誠一)ㆍ김복일(金復一)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 전등록(傳燈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억(楊億)이 교정, 간행한 불서(佛書). 30권. 본래 도원선사(道原禪師)가 찬술한 것을 양억이 개정하여 간행한 것으로, 중국 선종(禪宗)의 법계를 밝혀 1701인의 계보를 서술함.
100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도(京都)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도(耕道) - 방뢰(方耒)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연강 현령(連江縣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동(敬仝)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동(瓊仝) - 이경동(李瓊仝)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북정록(北征錄)》ㆍ《세조실록(世祖實錄)》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사홍(任士洪)의 횡포를 견제하고 유자광(柳子光)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락(京洛)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래(景來) - 홍경래(洪景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농민군 지도자. 본관은 남양(南陽). 1811년(순조 11)에 삼정(三政)의 문란 등 사회적 모순에 저항하여 평안도 가산(嘉山)에서 농민반란을 일으켰으나, 4개월 만에 실패하고 정주성(定州城)에서 전사함.
1771~1812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기타인명>역적
-
경략(景略)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