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렬명헌(敬烈明獻) - 인선왕후(仁宣王后)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로, 병자호란 후 인질로 잡혀가는 봉림대군(鳳林大君:효종)을 따라 심양(瀋陽)에 가서 8년을 머묾. 1649년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고, 현종(顯宗) 등 1남 6녀를 낳음.
1618~16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렬사우(景烈祠宇) - 경렬사(景烈祠)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된 사우(祠宇). 정지(鄭地)ㆍ정충신(鄭忠信)ㆍ김상의(金尙義) 등을 배향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경렴(景濂)@유경렴 - 유경렴(柳景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들이며,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경렴(景濂)@탁광무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렴(景濂)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렴(景濂)@송렴 - 송렴(宋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오내(吳萊)ㆍ유관(柳貫)ㆍ황잠(黃潛) 등의 문하에서 수학함. 원(元) 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 활동을 했으며, 《원사(元史)》의 편수를 주관함.
1310~1381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렴정(景濂亭)@탁광무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례(敬禮) - 기경례(奇敬禮)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둘째 아들로, 1591년(선조 24)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례(鏡禮) - 이경례(李鏡禮)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로(庚老)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경로(慶老)@김희년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로(慶老) - 권기(權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억(權憶)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로(敬老) - 김경로(金敬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상도ㆍ황해도ㆍ전라도 등지에서 활약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주(全州) 방어를 맡음. 왜군에게 포위된 남원(南原)을 구하기 위해 싸우던 중 전사함.
?~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경로(景老)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로(景魯)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경록(景祿)@한경록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록(景祿) - 탁복해(卓福海)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둘째 아들로, 도호부사(都護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룡(景龍) - 권경룡(權景龍)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경륜(景綸) - 나대경(羅大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 문학비평서(文學批評書)인 《학림옥로(鶴林玉露)》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률(景嵂) - 안경률(安景嵂)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안종도(安宗道)의 아버지로, 익위사 익위(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