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로(景老)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로(景魯)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경록(景祿)@한경록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록(景祿) - 탁복해(卓福海)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둘째 아들로, 도호부사(都護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룡(景龍) - 권경룡(權景龍)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경륜(景綸) - 나대경(羅大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 문학비평서(文學批評書)인 《학림옥로(鶴林玉露)》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률(景嵂) - 안경률(安景嵂)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안종도(安宗道)의 아버지로, 익위사 익위(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경률(景慄) - 탁거관(卓居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호(卓有怙)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률(景栗)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경릉(慶陵)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릉(敬陵)@소혜왕후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릉(敬陵)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릉(景陵)@명헌왕후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릉(景陵)@헌종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릉(景陵)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릉군왕(竟陵郡王)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경릉문선왕(竟陵文宣王)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경릉왕(竟陵王)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경릉자(竟陵子)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경린(慶麟)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