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립(敬立) - 신경립(辛敬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진사(進士) 신내옥(辛乃沃)의 아들로, 유운룡(柳雲龍)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을 일으킴.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경립(景立)@민여신 - 민여신(閔汝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천 군수(文川郡守) 민사용(閔思容)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고산 찰방(高山察訪) 등을 지냄.
15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립(景立) - 신륜(辛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신필주(辛弼周)의 아들로, 조식(曺植)과 교유하였으며,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역임함.
1504~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경망(景望) - 정백웅(鄭伯熊)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사상을 계승한 영가학파(永嘉學派)를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저서에 《몽재필담(蒙齋筆談)》ㆍ《부문서설(敷文書說)》이 있음.
112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명(敬命)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명(敬明) - 김창즙(金昌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다섯째 아들. 조봉원(趙逢源)의 문인이며, 여섯 형제들이 문장의 대가(大家)라 육창(六昌)이라 불림. 아버지 김수항이 사사된 뒤 학문에 전념하였고,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냄.
1662~17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명(景明)@윤욱 - 윤욱(尹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이이에게 《소학(小學)》을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경명(景明)@황섬 - 황섬(黃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의 아들이며 정탁(鄭琢)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平安道募運使)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
1544~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명(景明)@하경명 - 하경명(何景明)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고문사(古文辭)라고 하는 문학운동을 제창함. 전칠자(前七子) 중 한 사람.
1483~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명(景明)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경명(景明)@김공휘 - 김공휘(金公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호(金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숙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에게 수학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토평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모궁예제(景慕宮睿製) - 능허관만고(凌虛關漫稿)
조선의 제22대 정조(正祖)가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문적을 모아 편찬한 문집. 정조가 직접 편찬ㆍ교정하여 순조(純祖) 때 간행함.
18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경모전(敬慕殿)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목현비(敬穆賢妃) - 순경태후(順敬太后)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비. 성은 김(金)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장익공(莊翼公) 김약선(金若先)의 딸. 충렬왕(忠烈王)의 어머니.
?~123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경무(景武)@이제 - 이제(李濟)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셋째 딸 경순공주(慶順公主)와 결혼함.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흥안군(興安君)에 봉해졌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이방원(李芳遠)에 의하여 살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무(景武)@정식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무(景武) - 성윤문(成允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 때 등준시(登俊試)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ㆍ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경무(景茂)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문(景文)@남경문 - 남경문(南景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태종(太宗)의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와 혼인한 남휘(南暉)의 아버지로, 병조 의랑(兵曹議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문(景文)@유중엄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