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목현비(敬穆賢妃) - 순경태후(順敬太后)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비. 성은 김(金)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장익공(莊翼公) 김약선(金若先)의 딸. 충렬왕(忠烈王)의 어머니.
?~123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경무(景武)@이제 - 이제(李濟)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셋째 딸 경순공주(慶順公主)와 결혼함.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흥안군(興安君)에 봉해졌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이방원(李芳遠)에 의하여 살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무(景武)@정식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무(景武) - 성윤문(成允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 때 등준시(登俊試)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ㆍ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경무(景茂)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문(景文)@남경문 - 남경문(南景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태종(太宗)의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와 혼인한 남휘(南暉)의 아버지로, 병조 의랑(兵曹議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문(景文)@유중엄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경문(景文)@조인규 - 조인규(趙仁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세보(趙世輔)의 아들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문(景文)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문(景文)@이상정 - 이상정(李象靖)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낙향 후 안동(安東)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
1711~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문(景文)@황정욱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경문(景文)@신응하 - 신응하(申應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음.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여,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송별하며 쓴 〈송신경문환경(送申景文還京)〉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문의무(敬文懿武)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미(景美) - 황진(黃璡)@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 목사(義州牧使)로 선조를 잘 공궤(供饋)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계되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진병(進兵)ㆍ철병(撤兵) 등을 요청함.
1542~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경민(敬民) - 왕경민(王敬民)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공과 우급사중(工科右給事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선조(宣祖) 때 한림(翰林) 황홍헌(黃洪憲)과 함께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민(璟敏) - 한경(韓卿)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국구(國舅)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딸이 신의왕후(神懿王后)에 추봉(追封)되자,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방(景龐)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경백(京伯) - 김세호(金世鎬)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익기(金益基)의 아들. 1690년(숙종 1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의 행장을 씀.
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경백(冏伯)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백(敬伯)@구효연 - 구효연(具孝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구징(具徵)의 아들.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횡성 현감(橫城縣監)ㆍ장단 부사(長湍府使)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