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백(景伯) - 가규(賈逵)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 유흠(劉歆)에게 배웠으며,《좌씨전(左氏傳)》 및 오경(五經)에 해박하고 《경전의고(經傳義詁)》를 저술하는 등 통유(通儒)로 일컬어짐.
30~10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번(景樊) - 허난설헌(許蘭雪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허엽(許曄)의 딸로, 김성립(金誠立)과 혼인함.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웠는데, 자신의 불우한 삶을 시에 담아 총 210여 수의 시를 남겼으며, 유고집으로 《난설헌집(蘭雪軒集)》이 있음.
1563~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
-
경번(景繁)@송승희 - 송승희(宋承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진사(進士) 송구(宋枸)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을 지낸 송일(宋馹)의 아버지로, 정랑(正郞)ㆍ사성(司成)을 지냄.
153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번(景繁) - 박세무(朴世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헌(大司憲) 박소립(朴素立)의 아버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내고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저술함.
148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경번(景蕃) - 박세무(朴世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헌(大司憲) 박소립(朴素立)의 아버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내고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저술함.
148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경범(景范) - 조희문(趙希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조림(趙琳)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문인. 성리학(性理學)에 밝아 김인후의 학설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문장에도 능하여 정철(鄭澈)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27~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보(慶甫) - 최승하(崔承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어 교유하였고,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父)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父)@이양직 - 이양직(李養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역임하였으며,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기윤헌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신명지 - 신명지(申命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이며,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형.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냄.
1416~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심상현 - 심상현(沈尙顯)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8대조 심언광(沈彦光)의 시호(諡號)를 청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경보(敬甫)@유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김자흠 - 김자흠(金子欽)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지(金輊)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 - 김예몽(金禮蒙)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
1406~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박윤신 - 박윤신(朴允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장(茂長).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박성번(朴成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문사>유학
-
경보(敬甫)@손순효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손자수 - 손자수(孫自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종제(從弟)인 손자신(孫自新)ㆍ손자임(孫自任)과 함께 주희(朱熹)에게 수학하였으며, 주희의 전훈(傳訓)을 기록한 책 1권이 《주자어록(朱子語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보(敬甫)@신공 - 신공(申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1480년(성종 11) 과거에 급제하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올라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ㆍ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냄.
1451~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보(敬甫)@한익모 - 한익모(韓翼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신원(伸寃)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0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