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보(敬父)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父)@이양직 - 이양직(李養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역임하였으며,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기윤헌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신명지 - 신명지(申命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이며,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형.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냄.
1416~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심상현 - 심상현(沈尙顯)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8대조 심언광(沈彦光)의 시호(諡號)를 청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경보(敬甫)@유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김자흠 - 김자흠(金子欽)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지(金輊)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 - 김예몽(金禮蒙)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
1406~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박윤신 - 박윤신(朴允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장(茂長).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박성번(朴成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문사>유학
-
경보(敬甫)@손순효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손자수 - 손자수(孫自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종제(從弟)인 손자신(孫自新)ㆍ손자임(孫自任)과 함께 주희(朱熹)에게 수학하였으며, 주희의 전훈(傳訓)을 기록한 책 1권이 《주자어록(朱子語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보(敬甫)@신공 - 신공(申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1480년(성종 11) 과거에 급제하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올라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ㆍ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냄.
1451~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보(敬甫)@한익모 - 한익모(韓翼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신원(伸寃)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0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이제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경보(敬甫)@황효공 - 황효공(黃孝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냈으나, 탄핵을 받고 영천(榮川)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 특히 도상학(圖象學)과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과 《주역》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보(敬甫)@양예수 - 양예수(楊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하음(河陰). 의술(醫術)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 태의(太醫)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에 참여함.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술인>의원
-
경보(敬甫)@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보(經父) - 공문중(孔文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창안한 재정 관리와 군사 훈련하는 법이 옳지 않다고 논한 일로 파직되기도 하였으며, 중서사인(中書舍人)ㆍ지공거(知貢擧) 등을 지냄..
1038~108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복(慶福) - 민경복(閔慶福)
조선 전기의 문신.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이제(姨弟)로 예문관(藝文館)에서 일직(日直)을 할 때 써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복궐(景福闕) - 경복궁(景福宮)
조선 태조(太祖) 때 북악산(北岳山) 아래에 세운 궁궐 이름.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正宮)에 해당하며, 현재 서울 종로구(鍾路區) 세종로(世宗路)에 속함.
13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