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부(敬夫)@유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이전인 - 이전인(李全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서자(庶子)로, 이언적이 찬술한 〈진수팔규(進修八規)〉를 올려 이언적의 훈작(勳爵)이 복작(復爵)됨.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경부(敬夫)@오겸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김우굉 - 김우굉(金宇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대사성(大司成)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경부(敬夫)@노수함 - 노수함(盧守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경부(敬夫)@박흥생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조승숙 - 조승숙(趙承肅)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안(咸安).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감무(監務)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고향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의 한 사람.
135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박사공 - 박사공(朴思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이조 참의(吏曹參議) 박경선(朴慶先)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박신 - 박신(朴信)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362~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운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김흠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부(敬夫)@신식 - 신식(申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을 지낸 신여량(申汝樑)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윗동서.
15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부(景孚)@배세침 - 배세침(裵世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장기(長鬐). 참봉(參奉) 배연수(裵延壽)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부(景孚) - 박명응(朴明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진사(進士) 박이경(朴以經)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의 《소고집(嘯皐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경부(景阜) - 이봉(怡峯)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무신.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北周)의 태조(太祖)가 된 우문태(宇文泰)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부(鯨賦) - 벌경예부(伐鯨鯢賦)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 때 이부 낭중(吏部郞中) 최수(崔倕)가 융갈(戎羯)을 치기 위해 출정(出征)하는 군대를 격려하며 지어 올린 글.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경비(敬妃) - 경순왕후(敬順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조부인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비(妃).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왕실>왕비
-
경빈(敬嬪)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빈(敬賓)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경사류요(經史類要) - 백씨육첩사류집(白氏六帖事類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어휘집. 고금(古今)의 문학(文學)에 나타난 어휘를 천지(天地)ㆍ산천(山川)ㆍ인사(人事)ㆍ조수(鳥獸)ㆍ초목(草木)에 이르기까지 1870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수록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