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산이씨(京山李氏) - 성주이씨(星州李氏)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 때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이순유(李純由)를 시조로 삼고, 고려 고종(高宗) 때의 향리인 이장경(李長庚)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성주 , 인명>집단>성씨
-
경삼(景三) - 이성신(李省身)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동생 이치신(李致身)에게 아들 이환(李桓)을 양자로 보냄.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며, 이괄(李适)의 난 때 사관으로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경삼(景參) - 홍경삼(洪景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손자이자 참봉(參奉) 홍언국(洪彦國)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무신
-
경삼(景參)@김경삼 - 김경삼(金景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위빈(李渭濱)ㆍ이순(李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상(景祥) - 남몽오(南夢鰲)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 남기(南麒)의 아들로, 조목(趙穆)ㆍ김성일(金誠一)과 교유했으며, 기영사(耆英祠)에 제향됨.
152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경생(慶生) - 민경생(閔慶生)
고려 말기~조선 초의 문신. 우상시(右常侍)를 지낸 이정(李挺)의 사위이며,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낸 민설(閔渫)의 아버지로, 공안부 윤(恭安府尹)ㆍ예조 전서(禮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생(敬生) - 이경생(李敬生)
조선 전기의 종친.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최명창(崔命昌)의 장녀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생(景生) - 김경생(金景生)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대우(金大愚)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1573년(선조 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경서(景敍)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서(景瑞)@유몽정 - 유몽정(柳夢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저(柳希渚)의 손자로, 남원 현감(南原縣監)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정암수(丁巖壽)ㆍ오희길(吳希吉) 등의 무고(誣告)로 인해 옥중에서 장사(杖死)함.
1529~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서(景瑞)@김경서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경서(景瑞)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서(景瑞)@이세림 - 이세림(李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계장(李繼長)의 아들이자 부사(府使) 이세구(李世球)의 동생으로,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경서(景舒)@정현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서(景舒) - 박한로(朴漢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함경도 길주(吉州) 출신으로. 같은 고장의 함경충(咸敬忠)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 와서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경서후인(經鋤後人) - 예겸(倪謙)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경제(景帝)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저서로 《조선기사(朝鮮紀事)》를 남김.
1415~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석(景奭) - 이경석(李景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청(淸)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씀.
1595~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석(景石) - 권경석(權景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균(權勻)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석(景錫)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선(慶先) - 박경선(朴慶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장령(掌令) 박사공(朴思恭)의 아들. 장령(掌令)을 거쳐 이조 참의(吏曹參議)가 되고 광해군(光海君)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弼善)을 겸하였음.
155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