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선(慶善) - 오석복(吳碩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오언의(吳彦毅)의 아버지로, 의령 현감(宜寧縣監)을 지냄.
145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경선(慶宣) - 박경선(朴慶宣)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의 아들로, 무과에 급제하여 천성 만호(天城萬戶)를 지내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 순절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경선(景先)@부백성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선(景先) - 김회조(金懷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민공(文敏公) 김광철(金光轍)의 아들로, 통헌대부(通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선(景先)@김경선 - 김경선(金景先)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무진(茂珍). 통헌대부(通憲大夫)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에게 세 아들의 명자(名字)를 지어 줄 것을 청한 내용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선(景先)@전찬 - 전찬(全纘)
조선 전기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에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경선(景善)@유극량 - 유극량(劉克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연안 유씨(延安劉氏)의 시조.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洪暹)의 배려로 면천(免賤)하고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방어사(防禦使) 신할(申硈)의 부장(副將)이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방어하다가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경선(景善)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선(景善)@강경선 - 강경선(康景善)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창원도호부사(昌原都護府使) 강의(康顗)의 아들이고 강유선(康惟善)의 형. 이홍남(李洪男)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평민(平民)으로 강등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문사>유학
-
경성(景惺) - 김각(金覺)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동(永同)으로, 진사 김언건(金彦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상주(尙州)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고, 그 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온성 판관(穩城判官)을 지냄.
1536~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경성(景成) - 최충헌(崔忠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최원호(崔元浩)의 아들.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한 후 강력한 독점 권력을 행사했으며,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마련함.
1149~121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성대숙(京城大叔) - 공숙단(共叔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장공(莊公)의 동생. 어머니 무강(武姜)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경세(經世)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세(經世)@정경세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세서(經世書)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소(敬紹) - 홍경소(洪敬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홍기영(洪耆英)의 아들이며 손우재(遜愚齋) 홍석(洪錫)의 아버지로,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소(景召) - 김석진(金奭鎭)
조선 철종(哲宗)~순종(純宗) 때의 문신. 의열사(義烈士).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오적신(五賊臣)의 처형을 주장하였으며,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음독 자결함.
1843~1910 한국>근대ㅣ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소(景昭) - 이문규(李文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소(景昭)@이벽 - 이벽(李璧)@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공신ㆍ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박여룡(朴汝龍) 등과 창의했으며 선조를 따라 의주(義州)까지 호종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소(景素)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