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세(經世)@정경세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세서(經世書)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소(敬紹) - 홍경소(洪敬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홍기영(洪耆英)의 아들이며 손우재(遜愚齋) 홍석(洪錫)의 아버지로,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소(景召) - 김석진(金奭鎭)
조선 철종(哲宗)~순종(純宗) 때의 문신. 의열사(義烈士).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오적신(五賊臣)의 처형을 주장하였으며,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음독 자결함.
1843~1910 한국>근대ㅣ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소(景昭) - 이문규(李文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소(景昭)@이벽 - 이벽(李璧)@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공신ㆍ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박여룡(朴汝龍) 등과 창의했으며 선조를 따라 의주(義州)까지 호종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소(景素)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손(敬孫) - 홍경손(洪敬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아들이며, 고려 왕족인 왕규(王珪)의 외손.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1409~148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수(坰叟)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수(慶壽) - 설경수(偰慶壽)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귀화인. 본관은 경주(慶州).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아버지인 설손(偰孫)을 따라 귀화함. 송설체(松雪體)에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수(敬修) - 윤자신(尹自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식(尹湜)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 때 정즙(鄭緝) 등을 체포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종묘의 신주를 잘 보존하여 죽은 뒤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추록됨.
152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수(敬修)@조경수 - 조경수(曺敬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조항(曺沆)의 아버지로, 밀직사사(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경수(景受)@배천석 - 배천석(裵天錫)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임연재(臨淵齋) 배삼익(裵三益)의 아버지. 중종 때 천거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임용되었고,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경수(景受)@장응기 - 장응기(張應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울진(蔚珍). 임진왜란 때 초토사(招討使) 이정암(李廷馣)의 휘하에서 활약하고, 정유재란 때는 방어사 곽재우(郭再祐) 휘하에 참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연안(延安) 현충사(顯忠祠)에 배향됨.
1556~163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수(景受) - 권대기(權大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문인.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
1523~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경수(景樹) - 김덕령(金德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김붕섭(金鵬燮)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권율(權慄)ㆍ곽재우(郭再祐) 장군과 협력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연루되어 옥사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경숙(慶叔) - 송하(宋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 송세증(宋世曾)의 아들로, 옥당(玉堂)과 승지(承旨)를 지냄.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숙(敬叔)@남궁괄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숙(敬叔)@차식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경숙(敬叔)@김흠조 - 김흠조(金欽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림파(士林派) 성향의 인물로 김종직(金宗直) 등의 신원을 주청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여러 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