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숙(景叔)@왕호 - 왕호(王祜)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직언(直言)으로 인해 끝내 재상이 되지 못하자 뜰에 세 그루의 홰나무를 심고 자손 가운데 삼공(三公)이 되는 이가 있을 것이라고 하였는데, 아들인 왕단(王旦)이 재상이 되었다는 고사가 전함.
924~9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숙(景叔) - 김일(金軼)@김극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학생(學生) 김극인(金克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경숙(景淑) - 신유(申瀏)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효종(孝宗) 때 나선정벌(羅禪征伐)에 참여해 전공(戰功)을 세우고, 포도대장(捕盜大將)을 지냄.
1619~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무신
-
경숙(景肅) - 성발도(成發道)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린(成石璘)의 둘째 아들로, 참찬(參贊)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경숙(景肅)@이애 - 이애(李薆)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로, 태조의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함. 태종을 도와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3~14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경숙(磬叔)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숙(警叔) - 정탁(鄭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평(持平) 정충기(鄭忠基)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ㆍ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냄.
1452~149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숙옹주(敬淑翁主)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순(景淳) - 이직(李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이영(李嶸)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순(景純)@김순성 - 김순성(金順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버지로, 평양 서윤(平壤庶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순(景純) - 김수일(金守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학문과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음.
1528~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경순(景純)@조약 - 조약(刁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문신ㆍ문장가. 소식(蘇軾)과 교유했으며, 만년(晩年)에는 고향인 윤주(潤州)로 돌아가 문한(文翰)으로 여생을 마쳤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순(景醇)@강희맹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순(景醇)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순(頃順) - 김수동(金壽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진압함.
145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승(敬承)@유희서 - 유희서(柳熙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 유전(柳㙉)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냄. 1603년(선조 36) 포천(抱川)에서 화적(火賊)에게 살해되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그의 첩(妾)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
1559~160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승(敬承) - 강덕윤(姜德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 강종윤(姜宗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15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승(景升)@이조 - 이조(李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내다가 귀향한 후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함. 저서로 《동곡실기(桐谷實記)》 등이 있으며, 성주(星州)의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승(景升) - 유표(劉表)
중국 후한(後漢) 때의 군웅(群雄).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으로, 관도(官渡)의 싸움 때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덕망이 높아 유비(劉備) 등이 그에게 의탁함.
142~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경시(景時)@윤창명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