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순(景醇)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순(頃順) - 김수동(金壽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진압함.
145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승(敬承)@유희서 - 유희서(柳熙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 유전(柳㙉)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냄. 1603년(선조 36) 포천(抱川)에서 화적(火賊)에게 살해되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그의 첩(妾)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
1559~160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승(敬承) - 강덕윤(姜德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 강종윤(姜宗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15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승(景升)@이조 - 이조(李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내다가 귀향한 후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함. 저서로 《동곡실기(桐谷實記)》 등이 있으며, 성주(星州)의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승(景升) - 유표(劉表)
중국 후한(後漢) 때의 군웅(群雄).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으로, 관도(官渡)의 싸움 때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덕망이 높아 유비(劉備) 등이 그에게 의탁함.
142~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경시(景時)@윤창명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시(景時)@노대성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경시(景時)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시(更始)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신(慶新)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경신(敬身) - 이경신(李敬身)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봉사(奉事) 이매(李勱)에게 출계함.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아우이며 이치신(李致身)의 형.
1585~16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경신(景信)@권예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신(景信) - 탁윤순(卓允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맏아들로,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신궁주(慶愼宮主) - 경신공주(慶愼公主)
조선 태조(太祖)의 첫째 딸.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인 상당후(上黨侯) 이애(李薆)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 경신환국(庚申換局)
조선 숙종(肅宗) 6년 남인(南人) 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西人)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 남인은 1674년(현종 15)의 갑인예송(甲寅禮訟)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았으나,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을 견제하는 와중에 역모의 혐의를 받아 죽음을 당하거나 유배됨.
1680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경실(景實)@박경실 - 박경실(朴景實)
조선 후기의 유학. 박여량(朴汝樑)ㆍ정덕옹(鄭德顒)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적을 꾸짖다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경실(景實)@이성윤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경실(景實) - 이지무(李之茂)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치(李穉)의 둘째 아들로, 이지번(李之蕃)의 아우이자 이지함(李之菡)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아들인 이산보(李山甫)의 공으로 인해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경심(景深) - 이급(李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정읍 현감(井邑縣監)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아우인 이발(李潑)ㆍ이길(李洁)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37~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