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우(慶祐) - 이경우(李慶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목사(牧使) 이경희(李慶禧)의 형으로, 장령(掌令)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우(慶遇) - 이기남(李期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ㆍ부윤(府尹) 등을 지내고, 조헌(趙憲)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우(慶遇)@양경우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신희안 - 신희안(愼希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임운(林芸)이 쓴 〈숙현수조여경우구호(宿玄水朝與景愚口號)〉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우(景愚)@이기남 - 이기남(李期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ㆍ부윤(府尹) 등을 지내고, 조헌(趙憲)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송호지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김경우 - 김경우(金景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전한(典翰)을 지낸 김기(金紀)의 아들이며, 김식(金湜)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며, 기대승(奇大升)ㆍ김인후(金麟厚)ㆍ양응정(梁應鼎) 등과 시회(詩會)를 만들어 교유함.
1517~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오희안 - 오희안(吳希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된 스승 김식(金湜)을 은닉시켰다가 체포되어 벽동(碧潼)으로 귀양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주 , 인명>문사>유학
-
경우(景祐)@권경우 - 권경우(權景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대사헌 권경희(權景禧)와 이조 정랑 권경유(權景裕)의 형.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파직, 가산이 적몰(籍沒)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祐)@한경우 - 한경우(韓景祐)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자(韓慈)의 아들로, 중종의 여섯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靜愼翁主)와 혼인하여 청천위(淸川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우(景祐)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祐)@남경우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祐)@송호지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遇)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雨)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경운(慶雲)@조선전기 - 김경운(金慶雲)@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수(金粹)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ㆍ정사룡(鄭士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경운(慶雲)@조선후기 - 김경운(金慶雲)@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괄(李适)의 난 때 안현 전투(鞍峴戰鬪)에 참여하여 전사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경운(景雲)@박세옹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운산(慶雲山) - 청평산(淸平山)
경기도 가평(加平)에서 강원도 춘천(春川)에 걸쳐 있는 산. 본래 이름은 경운산(慶雲山)이나, 고려 예종(睿宗) 때의 문신 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여기서 지내면서부터 도둑이 없어지고 호랑이도 종적을 감추었다고 하여 산 이름을 고침.
경기도>가평ㅣ강원도>춘천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