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우(景祐)@송호지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遇)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雨)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경운(慶雲)@조선전기 - 김경운(金慶雲)@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수(金粹)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ㆍ정사룡(鄭士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경운(慶雲)@조선후기 - 김경운(金慶雲)@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괄(李适)의 난 때 안현 전투(鞍峴戰鬪)에 참여하여 전사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경운(景雲)@박세옹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운산(慶雲山) - 청평산(淸平山)
경기도 가평(加平)에서 강원도 춘천(春川)에 걸쳐 있는 산. 본래 이름은 경운산(慶雲山)이나, 고려 예종(睿宗) 때의 문신 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여기서 지내면서부터 도둑이 없어지고 호랑이도 종적을 감추었다고 하여 산 이름을 고침.
경기도>가평ㅣ강원도>춘천 , 지명>자연지명
-
경원(慶元)@송경원 - 송경원(宋慶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김종직(金宗直)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영월(寧越)에 유폐된 단종(端宗)이 죽자 임실(任實) 백이산(伯夷山)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음.
1419~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관인>문신
-
경원(慶元)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원(慶元)@김경원 - 김경원(金慶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김명원(金命元)의 형으로, 1553년(명종 8) 문과 별시(文科別試)에서 장원하여, 조부 김천령(金千齡), 아버지 김만균(金萬均)에 이어 3대가 장원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호서 절도사(湖西節度使)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경원(慶源)@인천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경원(敬元)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정백영 - 정백영(鄭伯英)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형인 정백웅(鄭伯熊)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수주 판관(秀州判官)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저서에 《귀우옹집(歸愚翁集)》이 있음.
1130~11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진덕수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김경원 - 김경원(金景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을 지낸 김찬(金巑)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면천 , 인명>문사>유학
-
경원(景元)@주방 - 주방(周昉)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궁정인물화 특히 사녀화(仕女畵)에 능했는데 우아하게 차려입고 한가하게 놀이를 즐기는 여인들의 풍만한 모습을 즐겨 그렸으며, 선주 자사(宣州刺史)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 - 이덕근(李德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源) - 신함(申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용강 현령(龍岡縣令)을 지냈으며,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瑗)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瑗)@신경원 - 신경원(申景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영의정(領議政) 신경진(申景禛)의 종제(從弟).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을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사도 부원수(四道副元帥)가 되어 항거했음.
1581~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