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원보씨(慶源輔氏)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원이씨(慶源李氏) - 인천이씨(仁川李氏)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해진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집단>성씨
-
경유(慶裕) - 이경유(李慶裕)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岩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유(景愈) - 반경유(潘景愈)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헌(潘景憲)의 아우로, 안경교수(安慶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유(景游)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유(景猷)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경유(景由)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유(景裕)@신경유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유(景裕) - 김인경(金仁慶)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惠順翁主)와 결혼함. 동서지간인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과 주고 받은 시들이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1514~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인척
-
경유(景遊)@어운해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곡량숙(穀梁淑) - 곡량적(穀梁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에게 《춘추(春秋)》를 배우고 여기에 전(傳)을 달아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곡량자(穀梁子) - 곡량적(穀梁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에게 《춘추(春秋)》를 배우고 여기에 전(傳)을 달아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곡량전(穀梁傳) -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곡량적(穀梁赤)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법가적(法家的) 색채를 띠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곡량춘추(穀梁春秋) -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곡량적(穀梁赤)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법가적(法家的) 색채를 띠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곡령(鵠嶺)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곡률(曲律)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곡률황제(曲律皇帝)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곡릉(鵠陵)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곡립(鵠立) - 황곡립(黃鵠立)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회덕(懷德). 황종해(黃宗海)의 아들로, 1652년(효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유학
-
곡봉(鵠峰) - 송복흥(宋復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전(宋琠)의 아들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절한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아버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527~159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