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곡운거사(谷雲居士) - 김수증(金壽增)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동생 김수항(金壽恒)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으로 들어가 은둔함.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624~17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곤(㻒)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곤(坤)@이곤 - 이곤(李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인문(李仁文)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1506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에 삭록됨.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462~152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곤(坤) - 윤곤(尹坤)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아우 윤향(尹向)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
?~14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곤(坤)@김곤 - 김곤(金坤)
고려 후기의 문인.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박동우(朴東雨) 등과 함께 시를 짓고 시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곤(坤)@정곤 - 정곤(丁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丁克仁)과 유학 정극경(丁克敬)의 아버지로, 충무시위사중령부사직(忠武侍衛司中領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곤(崑) - 최곤(崔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영견(崔永甄)의 아버지로, 훈련원 참봉(訓鍊院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곤(琨)@허곤 - 허곤(許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낸 허지(許芝)의 아들로,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468~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무신
-
곤(琨) - 권곤(權琨)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낸 권계경(權啓經)의 아들.
1427~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곤(璭) - 익현군(翼峴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31~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곤(袞)@강곤 - 강곤(康袞)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고, 남이(南怡)의 옥사(獄事)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1411~14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곤(袞)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곤(鯤)@한곤 - 한곤(韓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낸 한윤명(韓胤明)의 아버지로, 호분위 부사직(虎賁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곤(鯤) - 이곤(李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낸 이공린(李公麟)의 막내 아들로,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곤강(崑岡)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구(崑丘)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남(昆南)@남해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곤남(昆南)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륙재(困六齋) - 김의원(金義元)@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호우(金好遇)의 아들이자 김효원(金孝元)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곤륙재집(困六齋集)》을 남김.
15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곤륜구(昆侖丘)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