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곤(鯤) - 이곤(李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낸 이공린(李公麟)의 막내 아들로,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곤강(崑岡)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구(崑丘)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남(昆南)@남해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곤남(昆南)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륙재(困六齋) - 김의원(金義元)@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호우(金好遇)의 아들이자 김효원(金孝元)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곤륙재집(困六齋集)》을 남김.
15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곤륜구(昆侖丘)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륜산(昆侖山)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릉모용씨(昆陵慕容氏)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곤명군(昆明君)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곤명부정(昆明副正)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곤명정(昆明正)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곤변(鯤變) - 이곤변(李鯤變)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사부(詞賦)로 이름이 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곤산(崑山)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산(昆山)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수(崐壽)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곤암(困菴)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곤웅(坤雄) - 양산중(梁山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양응태(梁應台)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곤원(坤源) - 구곤원(具坤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구변(具忭)의 아들로 1570년(선조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함.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곤의(坤儀) - 원황(袁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송응창(宋應昌)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 천문(天文)ㆍ술수(術數)ㆍ의학(醫學)ㆍ수리(水利)에 능통하였으며, 저서에 《역법신서(曆法新書)》ㆍ《요범사훈(了凡四訓)》 등이 있음.
1533~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