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간(公幹)@박여주 - 박여주(朴汝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우의정을 지낸 박숭질(朴崇質)의 손자로, 1543년(중종 38)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을 지냄.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간(公幹)@이중량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공간(公幹) - 유정(劉楨)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장가. 건안칠자(建安七子) 중의 한 사람.
?~217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간(公榦) - 유정(劉楨)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장가. 건안칠자(建安七子) 중의 한 사람.
?~217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간(公簡) - 허사렴(許士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허찬(許瓚)의 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처남으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공간(恭簡)@김봉 - 김봉(金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륜(金崙)의 동생.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윤형 - 윤형(尹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규(尹珪)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추록(追錄)됨.
1388~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신거관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윤세호 - 윤세호(尹世豪)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1503년(연산군 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재임 중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허성 - 허성(許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허주(許周)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낸 허관(許寬)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냄.
1382~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효백 - 이효백(李孝伯)
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활을 잘 쏘아 세조(世祖)ㆍ예종(睿宗)ㆍ성종(成宗) 등에게 총애를 받음.
1433~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공간(恭簡)@정홍 - 정홍(鄭洪)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일성군(日城君) 정사도(鄭思道)의 아들. 우왕 때 제릉서 영(諸陵署令)을 지내고, 조선 건국 이후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제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공간(恭簡)@김주 - 김주(金湊)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낙안(樂安). 고려 말에 양광도(楊廣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고, 조선 초 한양천도(漢陽遷都) 때 종묘ㆍ사직ㆍ궁궐ㆍ관아 등을 짓는 데 공을 세웠으며, 밀양(密陽)의 영남루(嶺南樓)를 창건함.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한세환 - 한세환(韓世桓)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운(韓運)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기민(饑民) 구제에 힘씀.
1470~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성서 - 이성서(李成瑞)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을 맞아 싸우고 최영(崔瑩)을 따라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가서 벼슬을 받음.
?~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조석문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자건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한사문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