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간(恭簡)@윤긍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거(公擧) - 이량(李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5세손이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인. 윤원형(尹元衡)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되었으나 전횡을 일삼고, 사림(士林)을 숙청하려던 계획이 발각되어 강계(江界)로 유배된 후 죽음.
151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공거령(公車令) - 장석지(張釋之)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법을 엄히 지키고 죄인을 공평하게 다스려서 칭송을 받았고, 꿇어 앉아 처사(處士) 왕생(王生)의 대님을 매어 줌으로써 인품이 더욱 돋보였다는 일화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건지(公建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공검(公儉) - 설공검(薛公儉)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정승(政丞)을 지낸 설지충(薛之沖)의 아버지로, 첨의 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함.
1224~130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공검지(公檢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공검호(公檢湖)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공경(恭景) - 권화(權和)@고려후기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이며,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경(恭頃)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계(公桂) - 공규(公珪)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자유(公子由)의 아들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계(公繼)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공(空空) - 경조(景照)
고려 후기의 승려. 유가파(瑜伽派)에 속한 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몇 편의 시문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공(貢公) - 공우(貢禹)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의 문신.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왕길(王吉)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 세간에 “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召命)을 기다린다”라는 말이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공(龔公)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공거허(蛩蛩距虛) - 거^공(距^蛩)
중국 전설상의 동물인 거허(距虛)와 공공(蛩蛩)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짐승은 항상 붙어 다니며 궐(蟨)이라는 짐승의 부양을 받다가 궐에게 위험한 일이 생기면 궐을 등에 업고 달아난다고 하여 서로 의지함을 의미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공상인(空空上人) - 경조(景照)
고려 후기의 승려. 유가파(瑜伽派)에 속한 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몇 편의 시문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구(孔丘)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권(公權)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권(公權)@당 - 유공권(柳公權)@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자소사(太子少師)를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주로 안진경(顔眞卿)을 본받았으나, 안진경의 글씨에 살이 많다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서 흔히 안유(顔柳)라 병칭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음.
778~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권(公權)@고려 - 유공권(柳公權)@고려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씀.
1132~119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