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달(公達)@이공달 - 이공달(李公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결사(判決事) 이시보(李時珤)의 아들이자 찰방(察訪) 이응성(李應誠)의 아버지로,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공달(公達)@숙제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공당(工堂) - 공자당(工字堂)
충청북도 음성(陰城)에 있는 지천서원(知川書院)의 강당. 정면 4칸 측면 1칸 반, 앞의 1칸은 툇간인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 형태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공대(恭戴) - 정척(鄭陟)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성근(鄭誠謹)의 아버지로,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士)를 지냄. 해자(楷字)와 전자(篆字)에 뛰어나 새보(璽寶)와 관인(官印)을 다수 제작하고,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어 많은 의제(儀制)를 찬(撰)함.
1390~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덕장(孔德璋) - 공치규(孔稚珪)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작품 중에 〈북산이문(北山移文)〉이 유명함.
447~5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도(公度)@왕굉 - 왕굉(王竤)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섬서성(陝西省) 하주(河州) 사람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도(公度)@윤희 - 윤희(尹喜)
중국 주(周) 나라의 대부(大夫). 함곡관 윤(函谷關尹)을 지낼 때 서역(西域)으로 가던 노자(老子)가 함곡관(函谷關)을 지나가자 제자(弟子)의 예를 갖추고 《도덕경(道德經)》 오천언(五千言)을 받았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도(公度) - 유맹용(劉孟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장사(長沙)와 남강(南康)의 수령을 지냄. 주희(朱熹)가 “근결자호(謹潔自好)하며, 학문에 방도가 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도(公度)@장일 - 장일(張鎰)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봉상농우절도사(鳳翔隴右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반란이 일어나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도(恭度)@서선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度)@이장곤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度)@이문화 - 이문화(李文和)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조선 개국 후 세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등을 지냄.
1358~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度) - 성엄(成揜)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인(成石因)의 아들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悼)@구한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도(恭悼) - 한의(韓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아들.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모인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죽자 수릉관(守陵官)이 되어 왕실의 장례에 관한 일을 맡음.
1443~148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동(崆峒)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空同)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도사(空峒道士)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자(空同子)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전집(空同全集) - 이공동집(李空同集)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인인 이몽양(李夢陽)의 문집. 6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