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동집(空同集) - 이공동집(李空同集)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인인 이몽양(李夢陽)의 문집. 6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공량(公亮)@박공량 - 박공량(朴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 때 사형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은(朴誾)의 아들. 글씨에 능하여 많은 금석문(金石文)을 남겼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494~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조한필 - 조한필(曺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등(曺璒)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이공량 - 이공량(李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매부(妹夫)로, 봉사(奉事)를 역임함.
1500~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 - 김중연(金仲演)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김자행(金自行)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ㆍ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증공량 - 증공량(曾公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도(丁度) 등과 함께 《무경총요(武經總要)》를 찬술하였고,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하는 일을 총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김공량 - 김공량(金公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연산군 때 스승인 묵재(默齋) 이심원(李深源)과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1472~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공량(恭良) - 원종(元宗)@조선
조선 후기의 추존왕.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조(仁祖)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국왕
-
공려(公勵)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려(公礪) - 이공려(李公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이사필(李士弼)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공려(公閭) - 가충(賈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예주 자사(豫州刺史)를 지낸 가규(賈逵)의 아들. 무제(武帝) 때 상서복야(尙書僕射)로 《진율령(晉律令)》을 편찬함. 두 딸이 태자비(太子妃)와 제왕비(齊王妃)가 되었는데, 태자비는 후에 혜가황후(惠賈皇后)가 되어 횡포를 부려 팔왕(八王)의 난을 초래함.
217~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로(公路) - 원술(袁術)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무신. 손견(孫堅)과 결탁하여 동탁(董卓)을 격파함으로써 명성을 얻음. 197년 구강(九江)에서 칭제(稱帝)하였으나 2년도 못 되어 조조(曹操)에게 패하도 원담(袁譚)에게 가는 도중 사망함.
?~19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로(恭老)@우공로 - 우공로(禹恭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 증 병조 판서(贈兵曹判書) 우승경(禹承瓊)의 아들이며, 동래 현령(東萊縣令) 우종손(禹從孫)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공로(恭老)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릉(恭陵) - 장순왕후(章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 한명회(韓明澮)의 딸로, 세조(世祖)의 총애를 받았으나 원손(元孫)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은 뒤 병으로 요절하였음.
1445~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리(公理) - 중장통(仲長統)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문을 좋아하고 문사(文辭)에 능하며 직언(直言)을 즐겨 비판정신이 투철하였으며, 저서로 《창언(昌言)》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179~2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린(公麟)@조선 - 이공린(李公麟)@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鰲)ㆍ이귀(李龜)ㆍ이원(李黿)ㆍ이타(李鼉)ㆍ이별(李鼈)ㆍ이벽(李鼊)ㆍ이경(李鯨)ㆍ이곤(李鯤)의 아버지. 장인 박팽년(朴彭年)의 죄에 연좌되어 한동안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는 아들 이원의 죄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린(公麟)@송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만(恐晩)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강공망 - 강공망(姜公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晋州).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강욱(姜昱)과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강섬(姜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