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로(恭老)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릉(恭陵) - 장순왕후(章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 한명회(韓明澮)의 딸로, 세조(世祖)의 총애를 받았으나 원손(元孫)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은 뒤 병으로 요절하였음.
1445~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리(公理) - 중장통(仲長統)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문을 좋아하고 문사(文辭)에 능하며 직언(直言)을 즐겨 비판정신이 투철하였으며, 저서로 《창언(昌言)》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179~2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린(公麟)@조선 - 이공린(李公麟)@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鰲)ㆍ이귀(李龜)ㆍ이원(李黿)ㆍ이타(李鼉)ㆍ이별(李鼈)ㆍ이벽(李鼊)ㆍ이경(李鯨)ㆍ이곤(李鯤)의 아버지. 장인 박팽년(朴彭年)의 죄에 연좌되어 한동안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는 아들 이원의 죄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린(公麟)@송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만(恐晩)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강공망 - 강공망(姜公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晋州).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강욱(姜昱)과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강섬(姜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공망(公望)@심대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김공망 - 김공망(金公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문인. 1506년(중종 1) 문과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1482~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 - 이희손(李希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曾孫)인 보안정(保安正) 이수남(李壽男)의 아들.
1497~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공명(孔明)@호소 - 호소(胡昭)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은자ㆍ서화가. 재능과 지혜가 제갈량(諸葛亮)에 못지않았으나 깊은 산 속에 은거하여 평생 벼슬하지 않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나 종요(鍾繇)와 명성을 나란히 함.
161~250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서화가
-
공명(孔明)@유복룡 - 유복룡(柳伏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역임한 유희림(柳希霖)의 아버지로,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명(孔明)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목(恭穆)@민효증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목(恭穆)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목달(工木達)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공목헌황제(恭穆獻皇帝)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묘(孔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공묘(孔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무(公懋) - 현적(玄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현경창(玄景昌)의 아들로, 1627년(인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제영해동명현록(題詠海東名賢錄)〉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16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