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무(公懋)@심공무 - 심공무(沈公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인 심동로(沈東老)의 아들로, 서운관 부정(書雲觀副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공무(孔廡)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무(恭武)@한규 - 한규(韓珪)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등을 역임함.
?~141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무(恭武)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공무(恭武)@맹종 - 맹종(孟宗)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효자. 겨울에 병든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와 어머니의 병을 고쳤다고 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공문(公文)@반석평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문(公文) - 설사(偰斯)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원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명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에게 귀부하였으며, 일찍이 부보랑(符寶郞)으로 고려에 사신 와서 공민왕(恭愍王)을 책봉하고 인(印)과 금단(錦段)을 전달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문우(空門友) - 종령(宗聆)
고려 후기의 승려. 원효(元曉)의 무애사상(無㝵思想)을 중시하고, 미수사우(眉叟四友)라 불릴 정도로 문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문자(孔文子) - 공어(孔圉)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인물됨이 총명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아 시호(諡號)가 문(文)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민혜황제(恭閔惠皇帝)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보(公保) - 조확(趙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좌참찬(左參贊)을 지낸 조언수(趙彦秀)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公寶)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보(公父)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公甫)@한계미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公甫)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보(公輔)@남신신 - 남신신(南藎臣)
조선 종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남치형(南致亨)ㆍ남치리(南致利)의 아버지.
1505~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공보(公輔)@탁은필 - 탁은필(卓殷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공보(公輔)@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公輔)@이인우 - 이인우(李仁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도안(道安). 이승(李勝)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公輔) - 박세현(朴世賢)
조선 전기의 무신. 이황(李滉)의 조카사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