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보(共父) - 유공(劉珙)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손자.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한 중에 장상(將相)의 직임이 제수된 일이 있었으나 끝내 사양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共父)@조사공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共甫) - 이공(李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돈(李燉) 등의 문인이 있음. 지평(持平) 등에 제수되었으나 거절하고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며, 저서로 《율원문집(栗園文集)》이 있음.
153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功父)@곽상정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功父) - 정덕기(鄭德起)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유학.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성지(鄭性之)의 아들로, 1223년(영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공보(功甫)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功甫)@신민일 - 신민일(申敏一)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신암(申黯)의 아들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냄. 저서로는 《화당집(化堂集)》이 있음.
1576~165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공보(孔父)@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보(孔父) - 공보가(孔父嘉)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의 선조. 화독(華督)이 공보가 부인의 미모에 반해 공보가를 살해하자, 이후 그 후손들은 노(魯) 나라로 망명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보(工甫)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恭父)@오경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보(恭父)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恭甫)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貢父)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贛父)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부(公傅)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공부(公夫) - 이인형(李仁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함. 1506년(중종 1) 예조 판서(禮曹判書)에 추증됨.
1436~14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공부(公溥) - 송응개(宋應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참찬(左參贊) 송기수(宋麒壽)의 아들. 선조 때 동서분당(東西分黨) 이후 동인(東人)의 중진으로 활약하면서 허봉(許篈) 등과 함께 이이(李珥)를 탄핵하다 회령(會寧)에 유배됨.
1536~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부(工部)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부자(孔夫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