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원(婺源)
중국 안휘성(安徽省)에 속하는 고을 이름.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는 신안군(新安郡)에 속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원형(武元衡)
중국 당(唐) 헌종(憲宗) 때의 재상(宰相). 813년(원화 8)에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재상이 되어 번진세력(藩鎮勢力)을 약화시킴. 이사도(李師道)가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됨.
758~81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위집(無爲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걸(楊傑)의 시문집(詩文集). 15권. 1143년(고종 13) 지문위군사(知無爲軍事) 조사찬(趙士㣓)이 편차하여 판각함.
114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무이도가(武夷櫂歌)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 주희(朱熹)가 복건성(福建省)의 명산인 무이산(武夷山)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詩). 10수(首).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장(茂長)
전라북도 서남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무송(茂松)과 장사(長沙)가 합쳐진 지명으로, 고창(高敞)에 병합됨.
전라도>무장 , 지명>행정지명
-
무쟁(無諍)
삼국시대 신라(新羅)의 승려. 국사(國師)에 추봉(追封)됨.
한국>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무정보감(武定寶鑑)
조선 개국 초기부터 예종(睿宗) 때까지의 내우외환(內憂外患)에 관한 사건을 수록한 책. 1469년(예종 1) 왕명으로 계감청(繼鑑廳)에서 편찬하고 신숙주(申叔舟)가 수교(讎校)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420~422. 동진(東晉)의 공제(恭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
363~4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제)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482~493. 태조(太祖) 소도성(蕭道成)의 맏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남제(南齊) 창업에 참여함. 즉위 후 제도가 정비되고 문학과 불교가 성행하는 등 치세(治世)를 이룸.
440~49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3대 황제. 재위 560~578. 우문태(宇文泰)의 넷째 아들로, 우문호(宇文護)가 명제(明帝)를 독살하고 옹립했는데, 후에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親政)함. 재임 중에 북제(北齊)를 정벌하고 배불(排佛) 정책을 시행함.
?~5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無際)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무제권(書無際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