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석(公奭)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공석(公奭)@유공석 - 유공석(柳公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학자 유중엄(柳仲淹)의 아버지로, 전랑(殿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석(公碩)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석(孔碩) - 진공석(陳孔碩)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관직으로 비각 수찬(秘閣修撰)을 지냄. 주희(朱熹)와 함께 경학(經學)을 강마(講磨)했으며 《용학강록(庸學講錄)》 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선(公先)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공선사(孔先師)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섭(公燮)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성(公城)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공성(功成)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공성(孔城)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공성(孔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성묘(孔聖廟)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성부정(功城副正) - 이연수(李延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맏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공소(公紹)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소(孔紹) - 정공소(程孔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남(河南).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程廣)의 아버지. 중국 사람 정이(程頤)의 후손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소(恭昭)@임백령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소(恭昭)@이부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공소(恭昭)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공손수(公孫樹)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공손자(公孫子)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