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서(公瑞)@민시중 - 민시중(閔蓍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민광훈(閔光勳)의 아들이며, 좌의정(左議政) 민정중(閔鼎重)ㆍ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형.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625~167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瑞) - 이세구(李世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緖)@노필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緖) - 김찬선(金纘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손자로, 1569년(선조 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역임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西)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서화(公西華)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석(公奭)@김공석 - 김공석(金公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숙부. 북도 병마절도사(北道兵馬節度使)ㆍ청홍도 수군절도사(淸洪道水軍節道使) 등을 지냄.
147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공석(公奭)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공석(公奭)@유공석 - 유공석(柳公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학자 유중엄(柳仲淹)의 아버지로, 전랑(殿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석(公碩)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석(孔碩) - 진공석(陳孔碩)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관직으로 비각 수찬(秘閣修撰)을 지냄. 주희(朱熹)와 함께 경학(經學)을 강마(講磨)했으며 《용학강록(庸學講錄)》 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선(公先)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공선사(孔先師)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섭(公燮)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성(公城)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공성(功成)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공성(孔城)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공성(孔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성묘(孔聖廟)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성부정(功城副正) - 이연수(李延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맏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