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소(公紹)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소(孔紹) - 정공소(程孔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남(河南).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程廣)의 아버지. 중국 사람 정이(程頤)의 후손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소(恭昭)@임백령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소(恭昭)@이부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공소(恭昭)@도평군 - 도평군(桃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두 번째 서자.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장인.
1402~14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소(恭昭)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공손수(公孫樹)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공손자(公孫子)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수(公遂)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수(孔守) - 공융(孔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헌제(獻帝) 때 북해(北海)의 재상(宰相)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儒學)을 가르침. 한조(漢朝)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曹操)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
153~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수(贛叟)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수반(公輸盤)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수반(公輸般)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수자(公輸子)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숙(公叔)@유인선 - 유인선(柳仁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유자미(柳自湄)의 재종손(再從孫)으로, 사산 감역(四山監役)을 역임함.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여 조정에서 ‘효우문(孝友門)’을 정려(旌閭)하였으며, 양사언(楊士彦)이 〈효우문전(孝友門傳)〉을 지음.
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숙(公叔)@주목 - 주목(朱穆)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효렴과(孝廉科)에 천거되었으며, 기주 자사(冀州刺史)가 되자 탐관오리들이 두려워하여 인끈을 풀고 떠났으며 그가 경내에 도착하자 자살하는 자까지도 있었다고 함. 《후한서(後漢書)》에 〈주목열전(朱穆列傳)〉이 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숙(公叔) - 권처중(權處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문사>유학
-
공숙(公叔)@김헌윤 - 김헌윤(金憲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의 아버지.
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숙(公肅) - 이성군(利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용심씨(淑容沈氏)의 소생으로, 중종(中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명종(明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148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공숙(共叔) - 난성(欒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 예에 밝은 사람, 충신으로 시문(詩文)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