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숙(恭肅)@유필 - 유필(庾弼)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태자 태사(太子太師)ㆍ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역임하며 학문과 강직한 성품으로 칭송을 받음.
?~1155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이집 - 이집(李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풀려났으며,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함.
1438~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공숙문자(公叔文子) - 공숙발(公叔拔)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영공(靈公) 때의 대부. 가신(家臣)으로 있던 선(僎)을 대부로 추천하여 함께 조반(朝班)에 올랐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순(恭順)@문종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순(恭順)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순(恭順)@박숭질 - 박숭질(朴崇質)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윤(府尹) 박훤(朴萱)의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일부러 낙마하여 등청하지 않다가 면직되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재등용됨.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공순군(恭順君)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술(公述) - 심효겸(沈孝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15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승(公升) - 이공승(李公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보당(金甫當)의 난(亂) 때 이의방(李義方)의 무리에게 붙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제자인 문극겸(文克謙)의 도움으로 화를 면함.
1099~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박신 - 박신(朴伸)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덕계집(德溪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공신(公信)@안공신 - 안공신(安公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영(安瑛)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공신(公信)@강첨 - 강첨(姜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선조 때 사간(司諫)으로 있으면서 최영경(崔永慶)ㆍ정철(鄭澈) 등을 탄핵함.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9~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김공신 - 김공신(金公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훈도(訓導)를 지냈고,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만사(挽辭)가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愼)@탁욱 - 탁욱(卓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본(卓本)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愼)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신(拱辰) - 왕공신(王拱辰)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낙양 유수(洛陽留守)ㆍ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신(拱辰)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실(公實)@양유예 - 양유예(梁有譽)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부 주사(刑部主事)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0~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실(公實)@성여신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