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신(公信)@강첨 - 강첨(姜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선조 때 사간(司諫)으로 있으면서 최영경(崔永慶)ㆍ정철(鄭澈) 등을 탄핵함.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9~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김공신 - 김공신(金公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훈도(訓導)를 지냈고,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만사(挽辭)가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愼)@탁욱 - 탁욱(卓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본(卓本)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愼)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신(拱辰) - 왕공신(王拱辰)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낙양 유수(洛陽留守)ㆍ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신(拱辰)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실(公實)@양유예 - 양유예(梁有譽)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부 주사(刑部主事)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0~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실(公實)@성여신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공실(公實) - 권육(權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부친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질서(姪壻).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실(拱宸)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실(空實) - 사공실(司空實)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동년지기로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공씨유서(孔氏遺書)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안(恭安)@민경생 - 민경생(閔慶生)
고려 말기~조선 초의 문신. 우상시(右常侍)를 지낸 이정(李挺)의 사위이며,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낸 민설(閔渫)의 아버지로, 공안부 윤(恭安府尹)ㆍ예조 전서(禮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정옥형 - 정옥형(丁玉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조 판서 등을 지내고,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편찬에 참여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참여하여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짐.
1486~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 - 이교연(李皎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선(李旋)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조혜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한치인 - 한치인(韓致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 한확(韓確)의 아들이며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오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21~14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암(孔巖)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공암서원(孔巖書院) - 충현서원(忠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주자(朱子)ㆍ이존오(李存吾)ㆍ성제원(成悌元)ㆍ이목(李穆)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