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실(公實) - 권육(權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부친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질서(姪壻).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실(拱宸)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실(空實) - 사공실(司空實)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동년지기로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공씨유서(孔氏遺書)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안(恭安)@민경생 - 민경생(閔慶生)
고려 말기~조선 초의 문신. 우상시(右常侍)를 지낸 이정(李挺)의 사위이며,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낸 민설(閔渫)의 아버지로, 공안부 윤(恭安府尹)ㆍ예조 전서(禮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정옥형 - 정옥형(丁玉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조 판서 등을 지내고,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편찬에 참여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참여하여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짐.
1486~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 - 이교연(李皎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선(李旋)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조혜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한치인 - 한치인(韓致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 한확(韓確)의 아들이며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오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21~14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암(孔巖)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공암서원(孔巖書院) - 충현서원(忠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주자(朱子)ㆍ이존오(李存吾)ㆍ성제원(成悌元)ㆍ이목(李穆)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공암촌주(孔巖村主) - 허선문(許宣文)
통일신라~고려 초의 호족(豪族).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태조(太祖)가 견훤(甄萱)을 토벌할 때 재물을 바쳐 군비(軍費)를 지원한 공으로 공암촌주(孔巖村主)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양인
-
공암허씨(孔巖許氏) - 양천허씨(陽川許氏)
고려 태조(太祖) 때 공암촌주(孔巖村主)를 받은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수로왕(首露王)의 후예이나, 이때 이르러 양천을 관향(貫鄕)으로 삼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집단>성씨
-
공야자(公冶子) - 공야장(公冶長)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이며 사위. 그에 대한 일화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公羊)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양(恭襄)@김순명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양(恭襄)@윤계겸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양(恭襄) - 강곤(康袞)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고, 남이(南怡)의 옥사(獄事)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1411~14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양군(恭讓君)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