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이(公耳) - 김시보(金時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을 지냄. 수원김씨(水原金氏)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22세손으로, 용성김씨(龍城金氏)의 시조.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공이(公耳)@이가신 - 이가신(李可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량(李亮)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공인(公仁) - 문공인(文公仁)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정지상(鄭知常)과 함께 묘청(妙淸)을 성인이라 추앙하고 서경(西京) 천도 주장에 동조하여 탄핵을 받고 좌천됨.
1065~113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공인(公仁)@이공인 - 이공인(李公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달선(李達善)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공자(共子) - 난성(欒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 예에 밝은 사람, 충신으로 시문(詩文)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貢子) - 공우(貢禹)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의 문신.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왕길(王吉)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 세간에 “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召命)을 기다린다”라는 말이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자계(公子季)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기질(公子棄疾) - 평왕(平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28~B.C.516. 형인 영왕(靈王)을 죽이고 왕위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묘(孔子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자송(公子宋) - 정공(定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25대 제후. 재위 B.C.510~B.C.495. 애공(哀公)의 아버지. 공자(孔子)를 중용하여 제(齊) 나라 경공(景公)으로부터 빼앗겼던 땅을 반환받음.
?~B.C.4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아(公子牙) - 숙아(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莊公)의 이복동생. 장공이 아들인 반(般)을 태자로 삼으려 할 때 형 경보(慶父)를 지지하였으므로 아우인 계우(季友)에게 독살당함.
?~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알(公子遏) - 제번(諸樊)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제후. 오왕(吳王) 수몽(壽夢)이 아우 계찰(季札)이 현명하므로 임금으로 세우려 하였는데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고 사양하여 즉위하였음. 합려(闔閭)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완(公子完)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풍(公子馮) - 장공(莊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제위 B.C.710~B.C.692. 목공(穆公)의 아들로, 상공(殤公)에 의해 정(鄭) 나라로 쫒겨갔다가 화독(華督)이 상공을 시해하고 즉위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작(公綽)@당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정유 - 정유(鄭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經筵)에서 강론함.
1503~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 - 윤탕(尹宕)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사하(尹師夏)의 아들.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조선 - 유공작(柳公綽)@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조부. 간성 군수(杆城郡守)와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함.
1481~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장(公檣) - 이공장(李公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금산 군수(金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공장(孔璋) - 진림(陳琳)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 원소(袁紹)의 막하에 들어가 그를 위해 조조(曹操)의 죄상을 문책하는 격문을 지었는데, 원소가 패하여 조조에게 사로잡혔으나 조조는 그 재주가 아까워 죄를 주지 않고 기실(記室)을 삼았다 함.
?~21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