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자묘(孔子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자송(公子宋) - 정공(定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25대 제후. 재위 B.C.510~B.C.495. 애공(哀公)의 아버지. 공자(孔子)를 중용하여 제(齊) 나라 경공(景公)으로부터 빼앗겼던 땅을 반환받음.
?~B.C.4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아(公子牙) - 숙아(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莊公)의 이복동생. 장공이 아들인 반(般)을 태자로 삼으려 할 때 형 경보(慶父)를 지지하였으므로 아우인 계우(季友)에게 독살당함.
?~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알(公子遏) - 제번(諸樊)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제후. 오왕(吳王) 수몽(壽夢)이 아우 계찰(季札)이 현명하므로 임금으로 세우려 하였는데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고 사양하여 즉위하였음. 합려(闔閭)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완(公子完)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풍(公子馮) - 장공(莊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제위 B.C.710~B.C.692. 목공(穆公)의 아들로, 상공(殤公)에 의해 정(鄭) 나라로 쫒겨갔다가 화독(華督)이 상공을 시해하고 즉위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작(公綽)@당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정유 - 정유(鄭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經筵)에서 강론함.
1503~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 - 윤탕(尹宕)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사하(尹師夏)의 아들.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조선 - 유공작(柳公綽)@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조부. 간성 군수(杆城郡守)와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함.
1481~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장(公檣) - 이공장(李公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금산 군수(金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공장(孔璋) - 진림(陳琳)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 원소(袁紹)의 막하에 들어가 그를 위해 조조(曹操)의 죄상을 문책하는 격문을 지었는데, 원소가 패하여 조조에게 사로잡혔으나 조조는 그 재주가 아까워 죄를 주지 않고 기실(記室)을 삼았다 함.
?~21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장(恭長) - 이극증(李克增)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함.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저(公著)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저(公著)@여공저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적(孔籍)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절(恭節) - 김당(金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를 변호하는 태도를 취하였으며, 좌찬성(左贊成)으로 재임 중 죽음.
1465~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공절(恭節)@이거인 - 이거인(李居仁)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조선 태조(太祖) 때 밀무역을 한 일과 타인의 가기(家基)를 탈취한 일로 파직됨.
?~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정(孔庭)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공정(恭定)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