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정(恭定)@연부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정(恭靖)@김유 - 김유(金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략을 격퇴하고 흥왕사(興王寺)의 난을 평정하였으며, 제주(濟州)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무신
-
공정(恭靖)@이승상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정(恭靖)@정종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정(恭靖)@황상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정(恭靖)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정대왕(恭定大王)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정대왕(恭靖大王)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제(公濟)@신공제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공제(公濟)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제(恭帝) - 공종(恭宗)
중국 송(宋)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1274~1276. 몽고(蒙古)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조(恭祖) - 장공조(張恭祖)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정현(鄭玄)에게 《고문상서(古文尙書)》ㆍ《주례(周禮)》ㆍ《좌씨춘추(左氏春秋)》등을 가르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종(恭宗)@대종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좌(公佐) - 홍언국(洪彦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넷째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공좌(公佐)@유공좌 - 유공좌(柳公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ㆍ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용양위 사과(龍驤衛司果)를 지냄 .
1458~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주(孔州) - 경원(慶源)
함경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윤관(尹瓘)이 이들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공험진내 방어소(公險鎭內防禦所)를 만듦.
함경도>경원 , 지명>행정지명
-
공주(孔州)@경흥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공주한(孔周翰) - 공종한(孔宗翰)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공도보(孔道輔)의 아들. 형부 시랑(刑部侍郎)을 지냈으며, 공자의 46대손으로 《공씨종보(孔氏宗譜)》를 편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준(公俊) - 임공준(林公俊)
조선 전기의 아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보임. 좌수(座首)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아전
-
공준(公濬) - 유공준(柳公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조부(祖父)이고, 유계린(柳桂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