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중(公仲) - 왕가(王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 전한(前漢) 칠상(七相) 중의 한 명이며, 애제(哀帝) 때 변사(辯士)인 식부궁(息夫躬)의 계략을 저지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중(共仲) - 경보(慶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이복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제후의 자리를 노리고 장공의 아들인 민공(閔公)을 시해하였으나, 민공의 외삼촌인 제(齊) 환공(桓公)에 의해 궁지에 몰리다가 자살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중니(孔仲尼)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중달(孔仲達) - 공영달(孔穎達)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ㆍ천문ㆍ수학에 능통하였으며, 태종의 명에 따라 《수서(隋書)》ㆍ《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함.
574~64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중지(鞏仲至)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증(公增) - 김공증(金公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0년(중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종유(從遊)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1538년(중종 33)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진극충 - 진극충(陳克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내자 판관(內資判官)을 지낸 진암수(陳巖壽)의 아들.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김사렴 - 김사렴(金士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천(金蕆)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고, 신돈(辛旽)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直諫)함.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청주의 도산(陶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신경립 - 신경립(辛敬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진사(進士) 신내옥(辛乃沃)의 아들로, 유운룡(柳雲龍)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을 일으킴.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신상절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공직(公直)@강응정 - 강응정(姜應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첨지중추부사 강의(姜毅)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성균관 유생 시절 박연(朴演)ㆍ손효조(孫孝祖) 등과 함께 주자(朱子)의 고사에 따라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임회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이경중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심충겸 - 심충겸(沈忠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우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군량미 조달에 공헌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5~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진(公眞) - 탁은수(卓殷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맏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공진(公進)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진(拱辰) - 하공진(河拱辰)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거란군이 침입하자 거란의 성종(聖宗)을 만나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으나, 고영기(高英起)와 함께 거란의 볼모로 잡혀가 거란의 신하가 될 것을 강요받다가 거절하여 살해됨.
?~101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징(公澄)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천(公遷) - 주공천(朱公遷)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전백가(經傳百家)와 예악율력(禮樂律曆)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 건주 학정(虔州學正)을 지냄. 저서에 《사서통지(四書通旨)》와 《사서약설(四書約說)》이 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