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종(武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505~1521. 홍치제(弘治帝)의 맏아들로, 학문을 좋아했지만 즉위한 후 유희에 빠져서 방탕한 생활로 국력을 낭비함.
1491~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주(茂朱)
전라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신라 때의 무산현(茂山縣)과 고려 때의 주계현(朱溪縣)이 합해진 이름.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로, 두 나라 경계 관문이었던 나제통문(羅濟通門)이 남아 있음.
전라도>무주 , 지명>행정지명
-
무주일고(無住逸稿)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홍호(洪鎬)의 문집. 목판본. 6권 2책. 효종(孝宗) 또는 현종(顯宗) 연간에 아들 홍여하(洪汝河)가 편집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무창(武昌)
중국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 손권(孫權)이 처음 설치한 군(郡)으로, 적벽대전(赤壁大戰)이 벌어진 곳.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하옹집(無何翁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원손(李元孫)의 시문집. 목판본. 1751년(영조 27) 후손 이의집(李義集)이 편집ㆍ간행함. 윤봉조(尹鳳朝)의 서문과 이의철(李宜哲)의 발문, 유근(柳根)이 찬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7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무협(巫峽)
중국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와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 사이에 있는 협곡. 장강삼협(長江三峽)의 하나.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후(武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진후(晉侯) 희섭(姬燮)의 아들이며, 성후(成侯)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후(繆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 여동생을 제(齊) 환공(桓公)에게 시집보냈는데, 여동생과 환공(桓公)의 불화(不和)로 제(齊) 나라의 공격을 받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후사(武侯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남쪽에 세운 사당. 원래 제갈량(諸葛亮)을 배향하였으나, 명(明) 나라 초에 소열묘(昭烈廟)와 통합하여 유비(劉備)를 함께 제향함. 중국 유일의 군신 합묘(君臣合廟).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무후전서(武侯全書)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사기(王士騏)가 제갈량(諸葛亮)의 사적(事跡) 및 후인들의 평론(評論)ㆍ시부(詩賦) 등을 모아 편찬한 책. 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묵가(墨家)
중국의 철학(哲學) 유파(流派)의 하나. 전국시대 초기의 사상가인 묵적(墨翟)이 창시한 것으로, 차별 없는 사랑의 실천인 겸애설(兼愛說)을 주장하였으나, 유가(儒家)의 사상과 배치되어 유교 사상가들로부터 맹렬한 공격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묵기(默記)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 왕질(王銍)이 지은 잡서(雜書). 3권. 북송(北宋) 시대 조야(朝野)의 잡사(雜事)에 관한 내용이 많이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묵수성규(墨守成規)
묵적(墨翟)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公輸班)의 운제(雲梯)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守城)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묵자(墨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묵자(墨子)와 그의 제자 및 후학들이 남긴 주요저술을 집대성한 총집(叢集). 15권. 묵자의 주요사상, 묵자와 제자들의 언행, 후대 묵가(墨家)의 학설 등을 담고 있음.
중국 , 문헌>서명
-
묵재유고(默齋遺稿)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구언(游九言)의 시문집(詩文集). 2권. 시(詩) 1권, 문(文) 1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은 평범하지만 시는 간혹 만당(晩唐)의 빼어난 운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묵재일고(黙齋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사희(朴士熹)의 시문집(詩文集). 2권. 1935년 후손인 박세기(朴世基)가 편집, 간행함.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묵적(墨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사상가. 묵가(墨家)의 창시자. 전국(戰國) 초기에 상현(尙賢)ㆍ상동(尙同)ㆍ겸애(兼愛)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
B.C.480?~B.C.3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묵헌집(默軒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인 민지(閔漬)의 문집. 작자의 증손인 민안인(閔安仁)과 민유의(閔由誼)가 편찬하였으며, 현재는 일실되어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문^규(文^奎)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이라는 의미의 문성(文星)과 역시 문운(文運)을 맡은 별인 규성(奎星)을 함께 부르는 말. 전하여 문단에서 명성을 날린 문인(文人)을 일컬음.
자연물>기타자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