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직(公直)@임회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이경중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심충겸 - 심충겸(沈忠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우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군량미 조달에 공헌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5~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진(公眞) - 탁은수(卓殷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맏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공진(公進)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진(拱辰) - 하공진(河拱辰)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거란군이 침입하자 거란의 성종(聖宗)을 만나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으나, 고영기(高英起)와 함께 거란의 볼모로 잡혀가 거란의 신하가 될 것을 강요받다가 거절하여 살해됨.
?~101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징(公澄)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천(公遷) - 주공천(朱公遷)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전백가(經傳百家)와 예악율력(禮樂律曆)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 건주 학정(虔州學正)을 지냄. 저서에 《사서통지(四書通旨)》와 《사서약설(四書約說)》이 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천군(公川君) - 이자송(李子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수원이씨(水原李氏)의 시조. 덕흥군(德興君)의 변란 때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단성보조공신(端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으나, 우왕의 방탕함을 간하다 파직되고, 요동정벌에 반대하다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공천사(龔天使)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철(公轍) - 남공철(南公轍)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동참하여 순정한 육경고문(六經古文)을 깊이 연찬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많은 금석문(金石文)ㆍ비갈(碑碣)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로 알려짐.
1760~18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청도(公淸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공충도(公忠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공칙(公則)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탁(公卓) - 조공탁(趙公卓)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낭중(郞中)을 지냈으며, 차남인 순창부원군 백안불화(伯顔不花)가 원(元) 나라에서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올라 요양현군(遼陽縣君)으로 봉해짐.
1256~131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공태사(龔太師)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택(公宅)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택(公擇)@권용 - 권용(權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정(權應挺)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고,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히 할 것과 언로(言路)의 개방을 주장함.
1509~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택(公擇) - 이상(李常)@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젊었을 때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서 공부하였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 장서(藏書) 9천여 권을 공부하던 집에 기증하고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명명했는데, 이에 대해 소식(蘇軾)이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를 지음.
1027~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편(恭編)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